This study desires to fi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that is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about passive expression of Korean and Chinese. Prior to contrastive analysis about passive expression of Ko...
This study desires to fi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that is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about passive expression of Korean and Chinese. Prior to contrastive analysis about passive expression of Korean and Chinese, the study arranged the concept of passive sentence and set category by examining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passive expression of Korean and Chinese and arranged by each type, so prepared theoretical foundation.
Chapter 1 focused on suggesting of Korean passive expressio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Korean passive expression is divided into passive expression by ‘-이-, -히-, -리-, -기-’, passive expression by ‘되다, 받다, 당하다’, and passive expression by ‘-어지다’. However, Chinese passive expression is divided into marked passive expression and unmarked passive expression. There are various turns of Chinese passive expression. Because Chinese is an isolated language, there is no modification of word, and passive meaning is expressed by lexical meaning of predicate and syntactic format. Unmarked passive expression is also called semantic passive expression, and this study uses semantic passive expression.
Chapter 2 examined characteristics, focusing on Korea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of first chapter. In passive expression by passive affix ‘-이-, -히-, -리-, -기-’, passive verb is made by adding passive suffix to the stem of conative verb. In passive expression by ‘-어지다’, predicate is used by combining an adjective ‘-어지다’ with not only transitive verb but also intransitive verb. Passive expression by ‘되다, 받다, 당하다’ is made by replacing ‘하다’-style root of transitive verb with verb ‘되다, 받다, 당하다’. In ‘被’, ‘讓’, ‘叫’, ‘給’ sentence and ‘遭, 受’-style passive sentence of Chinese marked passive expression, when active expression is changed into passive expression, active verb of active expression is used as it is without modification of verb. Semantic passive expression is indistinguishable from active expression, and has only passive meaning. In addition, the study arranged Korea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sentences based on existing studies.
Chapter 3 did a survey targeting Chinese for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passive expressio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The study examined which corresponding relation Korean passive expressio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have. First of all, passive expression by ‘-이-, -히-, -리-, -기-’ is corresponding relation with Chinese ‘叫’ and ‘讓’ sentences, and semantic passive expression. Passive expression by ‘되다, 받다, 당하다’ is corresponding relation with Chinese ‘遭 and 受’-style passive sentences. Passive expression by ‘-어지다’ is corresponding relation with Chinese ‘叫’ and ‘讓’ sentences, and semantic passive expression. Lastly, the study arranged contrastive results between Korean passive expressio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When teachers teach Korean learners about Chinese passive expression, they should suggest not only marked passive expression but also Chinese semantic passive expression that is well-used in daily life.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and did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passive expressio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such contrastive analysis will help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and will also have an educational effect on Korean learners who learn Chinese.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에 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피동 표현의 대응 관계인 중국어 피동 표현을 찾아내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의 대조 분석에 앞...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에 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피동 표현의 대응 관계인 중국어 피동 표현을 찾아내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의 대조 분석에 앞서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피동문의 개념을 정리하고 범주 설정을 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의 유형을 검토하고 각 유형별로 정리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 피동 표현과 중국어 피동 표현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어 피동 표현은 ‘-이-, -히-, -리-, -기-’에 의한 피동 표현, ‘되다, 받다, 당하다’에 의한 피동 표현 그리고 ‘-어지다’에 의한 피동 표현으로 구분한다. 반면 중국어 피동 표현은 크게 유표지 피동 표현과 무표지 피동 표현으로 나누어진다. 중국어 피동 표현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중국어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단어의 형태 변화가 없고, 서술어의 어휘적 의미와 통사적 구성 방식으로 피동의 의미가 표현된다. 무표지 피동 표현은 의미상의 피동 표현이라고도 불리며 본고에서는 의미상의 피동 표현이라 한다.
2장에서는 1장의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보았다. 피동 접사 ‘-이-, -히-, -리-, -기-’에 의한 피동 표현은 능동 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미사가 덧붙어 피동 동사가 만들어진다. ‘-어지다’에 의한 피동 표현은 타동사뿐만 아니라 자동사나 형용사 ‘-어지다’가 결합되어 서술어가 사용되는 표현이다. ‘되다, 받다, 당하다’에 의한 피동 표현은 ‘하다’류의 타동사 어근에 ‘되다, 받다, 당하다’의 동사를 대체하여 만든 문장이다. 중국어의 유표지 피동 표현의 ‘피(被)’, ‘양(讓)’, ‘규(叫)’, ‘급(給)’자문 그리고 ‘조(遭), 수(受)’류 피동문은 능동 표현을 피동 표현으로 전환할 때 동사 형태 변화 없이 능동 표현에서 능동사가 그대로 쓰이고 있다. 의미상의 피동 표현은 능동 표현과 구별이 잘 안 되고, 피동 의미만을 가지는 문장이다. 또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 표현 문형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피동 표현과 중국어 피동 표현의 대조 분석을 위해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한국어 피동 표현과 중국어 피동 표현이 어떤 대응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이-, -히-, -리-, -기-’에 의한 피동 표현은 중국어 ‘규(叫)’자문, ‘양(讓)’자문, 그리고 의미상의 피동 표현과 대응되었다. ‘되다, 받다, 당하다’에 의한 피동 표현은 중국어 ‘조(遭), 수(受)’류 피동문과 대응되었다. ‘-어지다’에 의한 피동 표현은 중국어 ‘규(叫)’자문, ‘양(讓)’자문, 그리고 의미상의 피동 표현과 대응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 표현 간의 대조 결과를 정리하였다.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중국어 피동 표현을 가르칠 때 유표지 피동 표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중국어의 의미상의 피동 표현에 대해 제시하여야 한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 표현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 표현을 대조 분석하였다. 이러한 대조 분석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고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에게도 교육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