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lloqu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udy is conduct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olloquial usag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olloquial speech data collected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lloqu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udy is conduct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olloquial usag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olloquial speech data collected from advanced level Chines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it comes to the syntactical characteristics, the Chinese learners used less postpositions compared to the native Korean speakers. It was shown that the Chinese learners omitted postpositions and often combined them incorrect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hinese learners omit postpositions easily either since they are an element which is not part of their native language or to avoid their usage due to a lack of knowledge on how to use them. Among substitution, omission, addition and morphologic errors, the Chinese learners appeared to commit substitution errors the most. Next, it was shown that the Chinese learners, compared to the native speakers, did not use a variety of word endings and their use of word endings was limited. Tense pre-final ending errors were the most common errors made by the Chinese learners. The discourse/pragmatic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by comparing the usage of discourse mark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sentences. For the Chinese learners, the discourse markers were not prominent in the topic commencement and completion function. The Korean native speakers used names or titles agreed upon by the speaker and listener as the discourse marker of the topic commencement function and ‘anyway’ was used as the discourse marker of topic completion function. Native speakers used ‘Ah’, ‘oh’, ‘okay’, ‘yes, it is’, ‘yes’ as discourse markers of topic response function but only limited discourse markers such as ‘then’, ‘ah’, ‘yes’, ‘yes’, ‘um’ were displayed by the Chinese learners. In addition, the Chinese learners used far less discourse markers of topic response function compared to the Korean natives. The spoken sentences by the Chinese learners were shown to use less conjunctive endings which were turned into final endings compared to the Korean natives. Fragments can be divided into word level or sentence level fragments. Word level fragments were less used by the Chinese learners when compared to the Korean native speakers. Instead, they used more sentence level fragments. This study explores the colloquial characteristics which appear in the speech of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from a syntactic, discourse, and pragmatic perspective.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more detailed research on colloquial characteristics that will take into account both age and proficiency of the learners.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로부터 수집한 구어 발화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구어 사용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화 특성을 파악하는 데 ...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로부터 수집한 구어 발화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구어 사용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화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사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중국인 학습자는 조사를 적게 사용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는 조사를 생략할 수 없을 때에도 조사를 생략하고 조사를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에 잘못 결합시키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중국인 학습자에게 있어 조사는 모국어에 없는 요소이므로 쉽게 생략하거나 조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아예 회피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여겨진다. 중국인 학습자는 대치, 누락, 첨가, 형태 오류 중에 대치 오류를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미의 사용을 살펴보면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어미를 다양하게 사용하지 않고 자주 사용하는 어미를 아주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중국인 학습자의 어미 사용 오류 중에서는 시제선어말어미 오류가 가장 많았다. 담화·화용적인 특성은 주로 담화 표지의 사용과 발화된 문장의 특성 중심으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는 화제 시작과 화제 마무리 기능의 담화 표지가 잘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화제 시작 기능의 담화 표지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 정해져 있는 호칭이나 이름 등을 많이 사용하였고 화제 마무리 기능의 담화 표지로는 ‘어쨌든’이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화제 호응 기능의 담화 표지로 ‘아’, ‘오’, ‘그래’, ‘그렇지’, ‘어머’, ‘어’ 등을 사용하였으나 중국인 학습자는 ‘그럼’, ‘아’, ‘응’, ‘예’, ‘음’ 등이 한정된 담화 표지만이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화제 호응 기능의 담화 표지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된 문장은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사용이 적게 나타났다. 조각문의 사용은 단어 수준의 조각문과 문장 수준의 조각문으로 나누어진다. 단어 수준의 조각문은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사용이 적었고, 문장 수준의 조각문은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 나타난 구어적 특성을 통사적, 담화·화용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앞으로 연령별과 숙달도별 구어 발화 특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좀 더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