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G biofeedback guided relaxation exercises on upper trapezius to decrease tone and reduction shoulder pain in manual wheelchair user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Subjects & M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G biofeedback guided relaxation exercises on upper trapezius to decrease tone and reduction shoulder pain in manual wheelchair user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Subjects & Method
Twenty four manual wheelchair users patients with SCI with C7 or lower whom had their onset less than 2 years were assigned randomly to 1 of 2 interventions. Exercise group (N=12) was instructed to do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to decrease shoulder pai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N=12) was assigned to do the same program plus EMG biofeedback training to improve muscle relaxation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Frequency of exercises was once a day, a minimum of 5 days a week for each group. The level of pain was measured by WUSPI(Wheelchair User’s Shoulder Pain Index), and Myoton®PRO was utilized to measure the changes in tone, stiffness and elasticity of the upper trapezius at baseline 1 and 2, at post-intervention 10 weeks after the start of intervention. Normality test regarding the data was performed by Sharpiro-Wilk test. paired t-test and ANC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inspection was set as .05

Results
Baseline 2 to post-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WUSPI scores 44.25±11.64 to 32.12±16.45 in exercise group(p<.001). Baseline 2 to post-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WUSPI scores 40.35±14.16 to 20.08±8.98 i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p<.001).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ulder pain reduction compared to exercise group after intervention(p<.05).
Comparison of bilateral upper trapezius muscle tone, stiffness between exercise group and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from baseline 2 to post-interven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p<.05). However, in both group, elastic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 >.05).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upper trapezius stiffness reduction compare to the exercise group after intervention(p<.05), however, bilateral upper trapezius muscle tone, elasticity and right stiff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 >.05).

Conclusion
The exercise group using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and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using relaxation exercise for upper trapezius both groups appear to show positive effects in the shoulder pain reductio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shoulder pain reduction i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 than exercise group without EMG biofeedback. Individual with spinal cord injury often develop shoulder pain during the initial rehabilitation process, the pattern seems to be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at a later time which may have a major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shoulder pai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in acute stage and will require the study for a variety of treatment programs to recovery.

본 연구는 수동형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환자 중 어깨 통증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가 어깨 통증미치영향에 대하여 ...

본 연구는 수동형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환자 중 어깨 통증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가 어깨 통증에 미치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충족되며 어깨 통증을 가지고 있는 발병 후 2년 이내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입원 중인 척수손상환자 24명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운동치료군(N=12)은 근력강화 및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N=12)은 운동프로그램과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를 감소시키는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같이 수행하였다. 각각의 운동프로그램은 8주간 주 5일 이상, 1회 운동 시간은 50분이 소요되었다.
통증의 변화는 WUSPI(Wheelchair User’s Shoulder Pain Index)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위등세모근의 긴장도, 경도, 탄성을 측정하기 위해 Myoton®P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주간의 중재과정 후 어깨 통증의 변화를 WUSPI로 측정한 결과 운동치료군은 44.25±11.64점에서 32.12±16.45점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도 40.35±14.16점에서 20.08±8.98점으로 감소를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룹 간 운동방법에 따른 통증의 변화량을 보기 위한 검정에서 운동치료군보다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에서 통증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위등세모근의 긴장도, 경도, 탄성 변화를 중재 전, 후에 측정한 결과, 운동치료군의 긴장도는 왼쪽이 18.40±2.29㎐에서 16.50±1.46㎐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도 19.07±2.21㎐에서 16.73±1.41㎐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 측정에서 왼쪽은 350.33±57.49N/m에서 305.83±30.48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에서도 374.08±63.81N/m에서 313.25±32.24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탄성 변화 측정에서 왼쪽은 1.07±0.18에서 1.15±0.17으로 감소하였고, 오른쪽은 1.10±0.22에서 1.14±0.23로 감소하였으나 양측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의 위등세모근 긴장도, 경도, 탄성의 변화에서 왼쪽 긴장도는 17.32±1.66㎐에서 15.22±1.32㎐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도 17.35±1.55㎐에서 15.50±1.22㎐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 측정에서 왼쪽은 315.66±49.29N/m에서 273.08±24.57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에서도 317.58±48.06N/m에서 270.50±38.47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탄성의 변화 측정에서 왼쪽은 1.08±0.15에서 1.12±0.21으로 감소하였고, 오른쪽은 1.07±0.13에서 1.08±0.20로 감소하였으나 양측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룹 간 비교에서 중재 후 운동치료군보다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에 위등세모근의 왼쪽 경도 감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왼쪽과 오른쪽의 긴장도와 탄성, 오른쪽 경도에서는 두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8주 동안 어깨 통증을 가지고 있는 수동형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환자에게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통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 훈련 또한 통증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이 운동치료군에 비해 통증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 척수손상환자의 재활초기에 발생되는 어깨 통증은 시간이 경과되면 근골격계 문제와 연결되는 양상을 보이며, 일상생활에 제약이 되기도 한다. 이에 척수손상 재활초기에 어깨 통증을 예방하고 회복시키는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