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주요 대학․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에 사용하고 있는 초․중․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각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전통 문화 교육 내용 및 전통 문화와 관련된 어휘의 활용 빈도수...
본 연구는 현재 주요 대학․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에 사용하고 있는 초․중․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각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전통 문화 교육 내용 및 전통 문화와 관련된 어휘의 활용 빈도수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어 교재에서의 전통 문화 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어 교재에서의 바람직한 전통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나아가 실제적인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한 연구들도 점점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재 분석에 관한 연구는 많은 편이었지만 바람직한 문화 교육을 위한 교재 구성 방안에 대해 다룬 연구는 비교적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내의 주요 대학 및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세 한국어』, 『이화 한국어』,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의 초․중․고급 교재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통 문화 범주인 정신 문화, 언어 문화, 예술 문화, 생활 문화, 사회 문화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에서의 전통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어 초·중·고급 교재에 나타난 전통 문화 교육 내용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초·중·고급 교재에 제시된 전통 문화 교육 내용은 본 연구에서 분류한 다섯 가지 문화 항목 범주에 균형 있게 분포되어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한국어 초·중·고급 교재에 제시된 전통 문화 교육 내용 중 어려운 어휘의 제시가 구체적인 설명 없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셋째, 한국어 초·중·고급 교재에 제시된 전통 문화 교육 내용의 대부분은 한 단원의 끝부분, 혹은 한 교재의 가장 뒷부분에 ‘문화’영역으로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언어 학습과 통합적으로 연결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통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를 다음과 같이 주제, 단원, 어휘 면에서 제시해 보았다. 첫째, 주제 면에서 전통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는 다양한 문화 항목들을 균형 있게 다루고 있어야 한다. 둘째, 단원 면에서 전통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의 언어 교육과 전통 문화 교육을 통합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어휘 면에서 전통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는 전통 문화 교육 내용과 관련된 어려운 어휘를 이해하기 쉽고 현대화하여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전통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화제 선정과 어휘, 텍스트 및 과제 제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해 보았다. 이러한 제안은 예시일 뿐이며 본 연구를 포함한 앞으로의 더욱 더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한국어 교재에서 언어 교육과 한국의 전통 문화 교육이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적인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