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법교육의 지향이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언어 주체로서의 성장에 있다고 보고 사회문화적 의미 과정으로서 장르의 관점에서 문법을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대로 한 ‘장르 문법 교...
본 연구는 문법교육의 지향이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언어 주체로서의 성장에 있다고 보고 사회문화적 의미 과정으로서 장르의 관점에서 문법을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대로 한 ‘장르 문법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연구이다.
국어교육의 목표가 사회문화적 문식력의 신장과 연계되면서 국어교육학에서 장르 관련 연구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연구들은 장르를 텍스트 유형으로 보거나 장르에 대한 인식을 담지하는 ‘언어’를 초점화하지 않음으로써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장르를 ‘사회문화적 의미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이러한 의미 과정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한 ‘언어화의 원리’로서의 문법을 재개념화하여 이를 ‘장르 문법’으로 명명하였다. ‘장르 문법’은 언어화 과정에서 모어 화자가 특정 선택항을 구성하고 하나의 언어형식을 선택하는 기제를 장르성에 입각하여 해석함으로써 언어 운용 및 구성의 원리로서의 문법에 접근하는 문법관이다. 여기서 텍스트는 ‘사회적 실천 행위’, 장르성은 ‘언어 주체에게 인식된 장르의 원형적 속성’, 선택항은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된 선택의 체계항’을 의미한다. 국어교육의 방향이 언어관의 설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언어관은 곧 언어 운용 및 구성 원리인 문법에 대한 관점과 상통한다는 점에서, 장르 문법은 국어교육 및 문법교육을 위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성격을 띤다.
이러한 문법관을 토대로 하는 ‘장르 문법 교육’은 사회문화적 의미 과정을 인식하여 자신의 의미를 언어화하는 언어 주체의 문법적 앎을 성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런데 특정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을 분석하는 활동이나 특정 언어형식의 목록에 대한 지식은 언어 주체의 한 양태를 포착하기는 하나, 이러한 한 양태의 대치(代置)를 통해서는 의미 있는 학습자의 변화를 담보할 수 없다. 이런 면에서 장르 문법 교육은 학습자가 스스로 언어적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문화적 의미 과정과 연계하여 특정 맥락에서 타당한 선택항을 구성하여 자신의 의미를 언어화할 수 있도록, 관련 문법 지식을 재편하여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곧, 장르 문법 교육의 내용은 언어화 과정에서 메타적?동태적으로 동원될 수 있는 문법 지식이며, 장르 문법은 이러한 문법 지식의 선정을 위한 조직자로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장르 문법 교육에서 지향하는 학습자를 ‘문법하는 인간’이라는 교육적 인간상으로 개념화하고, 문법하기의 양태를 보여 주는 일군의 연구물을 선정하여 이들이 장르와 연계하여 특정 언어형식의 의미기능을 해석하는 ‘문법하기’ 과정을 탐색하였다. 동시에, 미숙한 모어 화자인 학습자군의 다양한 텍스트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장르성의 인식, 언어 주체의 역할 설정, 의미 단계에 따른 역할의 조정’이라는 장르 문법 교육의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여 문법하기 과정에서 동원되는 중핵적 앎을 ‘언어 단위’와 ‘문법 요소’ 층위에서 선정하였다. 언어 단위의 중핵 교육 내용은 ‘계층적 구조로서의 문장 구조’, ‘범주적ㆍ기능적 품사’, ‘중층적 분석 단위로서의 형태소 인식’이 된다. 문법 요소의 중핵 교육 내용은 ‘객관성, 관계성, 시간성’이라는 상대적 자질을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인용ㆍ피동ㆍ사동 표현’, ‘종결ㆍ상대 높임 표현’, ‘시간ㆍ양태 표현’을 선정하였다. 장르 문법은 이러한 중핵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과 기술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선정한 문법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을 활동과 연계하여 조직함으로써, 장르 문법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교육 내용의 구조화 및 상세화를 제시하였다. 먼저 설계 층위에서 문법 지식 간, 문법 지식과 텍스트 간을 연계함으로써 장르 문법 교육 내용의 전체적인 구조를 제시하고, 텍스트와 연계한 활동의 층위와 위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하나의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한 교육 내용의 상세화를 시간 표현을 중심으로 제시함으로써 구현 층위에서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는 ‘장르 문법’이라는 문법관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지니며, 동시에 이러한 문법관이 어떻게 교육 내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그 실제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