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문화 교육 연구 : 학령기 중도입국자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현재 중도입국자녀의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의 문화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도입국자녀의 한국문화 교육위한 한국어 교재 내 한국문화 교육 내용...

연구는 현재 중도입국자녀의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의 문화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도입국자녀의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내 한국문화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중도입국자녀는 국내에서 태어나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습득하며 성장한 다문화가정자녀와는 다르기 때문에 기반 지식이 없는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자녀의 문화 교육 내용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 방법 및 내용을 제시하고, 중도입국자녀 및 한국문화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 정리하였다. 2장에서는 중도입국자녀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중도입국자녀는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한국으로 이주를 하며 이 과정에서 한국생활을 위한 준비과정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가정생활과 사회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 중도입국자녀의 교육 현황을 통해 중도입국자녀가 이주로 인해 학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기에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학교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중도입국자녀 교육에 적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국내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재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으로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총괄 정리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와 다문화 배경을 지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화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과정을 정리하였다.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현재 중도입국자녀의 한국어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 5종 12권을 분석하여 교재 내에서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교재 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향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재에 제시되는 문화 교육 내용은 중도입국자녀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둘째, 교재에 제시되는 문화 교육 내용은 중도입국자녀의 교육을 위해 순차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문화 교육 내용이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차적인 내용에 그쳐서는 안 된다. 넷째,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문화 교육은 포괄적인 문화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한국문화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여섯째, 한국문화의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함께 교육하여 문화에 대해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정리하며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중도입국자녀의 상황을 고려한 한국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현용 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중도입국자녀에게 적합한 문화 교육 과정과 문화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가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과 교재 개발에 활용되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lture content of Korean textbooks used in Korean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and search for directions to improve the conten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Korean textbooks for Korean culture edu...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lture content of Korean textbooks used in Korean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and search for directions to improve the conten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Korean textbook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Chapter 1 raised a need for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with no base knowledge since they were different from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t were born in South Korea and grew,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chapter then introduce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to examine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and reviewed and arranged previous studies on immigrated childre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Chapter 2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immigrated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distinctiveness. Most of immigrated children get to move to South Korea regardless of their will, in which process they make no enough preparations for life in South Korea. They thus have difficulties with adapting to family and social life in South Korea due to their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e current education that immigrated children received indicated that their study was interrupted due to immigration in many cases and confirmed a need for education about school culture so that they could continue their study. The investigator also analyzed foreign cases and applied them to th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in the nation. Chapter 3 analyz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As for curriculums, the chapter sorted out the Korean culture curriculum for immigrated children based on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of the "Stage 2 of Standard International Model Development for Korean Education," which put together and sorted out the Korean curriculums, and "Korean Curriculum" for Korean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study then analyzed 12 textbooks of five kinds currently used in Korean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also the content of culture in the textbooks. Chapter 4 arranged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and proposed six direction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first,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provided in the textbooks should be fit for the fulfillment of educational goals of immigrated children; second,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provided in the textbooks should be presented in a consecutive and systematic manner for the education of immigrated children; third,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should not remain secondary to Korean education; fourth, culture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should proceed in comprehensive cultural content; fifth, it should offer accurate content about the Korean culture; and finally, it should addres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bout the Korean culture so that they can develop an objective and critical view of it. Chapter 5 arranged the research content and made suggestions about the direction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directions for culture curriculums and culture education content fit for immigrated children by raising a need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that takes the situations of immigrated children into consideration and examining the textbooks currently in use. The findings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extbooks for immigrated children.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