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10(Children's Voice Handicap Index : CVHI-10)의 신뢰성과 타당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Dysphonia is a common pathologic condition in childhood. Frequently, children or parents are not aware of their own or their child's voice problems and often miss an opportunity to have an appropriate intervention. In voice assessment, in particular, ...

Dysphonia is a common pathologic condition in childhood. Frequently, children or parents are not aware of their own or their child's voice problems and often miss an opportunity to have an appropriate intervention. In voice assessment, in particular, patient-self voice assessments for children are not enough. Thus, self voice assessment tools tested by parents and teachers as well as school age children are necessary. Recently, a pediatric VHI(pVHI) has been developed and standardized in Korean version. It includes too a large number of items (23 items) to concentrate the answers and takes too long time to complete. Most recently, CVHI-10 has been developed with short items (10 items) for old children. This study asses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CVHI-10 for reliable self-administerd voice assessment. For this study, a total of 100 school age children with voice disorders, aged 7~12 years and 100 age and gender-matched children with no voice disorders and 200 parents answered.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VHI-10 responded by parents and by children exhibited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for total scores (r = .761, r= .541 respectively).
Second, CVHI-10 in children with dysphonia responded by parents and their children showed relatively low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α = .450, Cronbach-α=.522, respectively).
Third, content validity was determined by three experts who specialized in voice disorders. The CVI (content validity index) of total scores corresponded to 0.94, indicating excellent content validity.
Forth, for item discrimin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item scores and total scores responded by parents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item scores and total scores except item '6' conducted by children.
Fifth, the mean scores of the total domain of CVHI-10 in normal and dysphonia groups from their parents were 0.36±1.32, 18.43±3.73,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were shown in dysphonia group (p<.05). Likewise, the mean scores of the total domain of CVHI-10 in normal and dysphonia groups rated by children were 1.55±2.25, 14.10±3.55,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were shown in dysphonia group (p<.05), indicating Korean version of CVHI-10 is able to differentiate children with dysphonia in normal children.
Sixth, higher correlations between Korean version of pVHI and CVHI-10 were observed in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ponses (r = .759, r = 752, respectively).
Seventh, all acoustic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except fo.
Eighth,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CVHI-10 responded by children , %jitter (r =.294), %shimmer(r= .242), and perceptual parameter 'G'(r = .252) statistically correlated moderately. 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CVHI-10 responded by their parents, %jitter (r =.305, %shimmer(r = .353), and perceptual parameter 'G'(r = .252) statistically correlated moderately.
From these results, Korean version of CVHI-10 received from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be applicable and useful voice assessment tool for identifying and evaluating the level of parents' or their child's awareness of dysphonia severity in a daily life. In addition, CVHI-10 can be beneficial for providing the motivation about treatment and for changing the behaviors impinge on child's voice.

Keywords : Dysphonia, Children, Parents, Voice handicap Index

아동기에는 음성장애가 흔히 발생하지만 아동이나 보호자가 아동이 음성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 소아음성...

아동기에는 음성장애가 흔히 발생하지만 아동이나 보호자가 아동이 음성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 소아음성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환자 자가용 음성평가 방법이 부족한 실정에서 보호자, 교사 및 학령기 소아들이 평가할 수 있는 주관적 음성 평가 도구는 매우 필요하다.
현재 임상에서 아동에게 사용되는 평가항목의 수는 다소 많은 편이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과 동시에 대상자들이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문항들에 대해 정확한 자신의 상태를 파악해서 평가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주어진다.
소아음성장애지수(pVHI)도 단축된 문항인 아동음성장애지수(CVHI; Children Voice Handicap Index)-10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음성장애 평가 방법 중 아동이나 부모 스스로가 아동의 음성 문제에 대한 장애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소아음성장애지수(pVHI)의 단축본인 아동음성장애지수의 한국어 번안본의 표준화를 위하여 정상 아동과 음성장애를 가진 아동의 음성장애지수(CVHI)-10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조사하고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CVHI)-10의 임상적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 학령기 연령(만 7-12세) 정상아동군 100명과 음성장애아동 환자군 100명,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CVHI)-10 (Korean - Children’s Voice Handicap Index)-10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첫째,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부모 보고의 경우 상관계수 r=.761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아동 보고의 경우 상관계수 r=.541로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음성장애 아동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CVHI)-10의 문항에 대한 내적 일관성은 아동 보고는 Cronbach-α 값이 .450, 부모 보고는 .522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여, 검사 문항들 간 동질성이 높지 않았다.
셋째, 문항변별도 부모 보고 모든 문항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아동 보고의 경우는 6번 문항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검사 타당도는 부모 보고에 의한 정상아동군과 음성장애아동 환자군 간 아동음성장애지수-10의 총 점수는 각각 0.36±1.32, 18.43±3.73으로 음성장애아동 환자군의 총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아동 보고에 의한 정상아동군과 음성장애아동 환자군 간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 총 점수는 각각 1.55±2.25, 14.10±3.55로 음성장애아동 환자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정상아동들과 음성장애아동을 구별할 수 있는 설문지임을 확인 하였다.
다섯째, 아동 보고와 부모 보고에 의한 한국어판 소아음성장애지수(pVHI)와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CVHI)-10의 상관계수 r은 각각 .759, .752로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임상현장에서 단축된 한국어판 아동장애지수(CVHI)-10이 음성문제를 가진 아동을 평가할 때 부모 보고나 아동 보고를 받기에 적합한 설문지임을 시사하였다.
여섯째, 정상아동군과 음성장애아동 환자군 간에 음향학적 측정치 비교는 f?을 제외하고 모든 음향학적 측정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곱째, 아동 보고에 의한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CVHI)-10은 음향학적 측정치인 %jitter (r=.294), %shimmer (r=.242) 및 청지각적 평장 ‘G' (r=.252)와 보통의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부모 보고에 의한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CVHI)-10은 음향학적 측정치인 %jitter (r=.305), %shimmer (r=.353) 및 청지각적 평장 ‘G' (r=.252)와 보통의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는 아동과 부모 모두 비교적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으나, 문항내적일관성은 보통 수준의 일관성을 보였으며, 문항변별도는 부모 보고의 경우 모든 문항에서 변별성이 있었으나, 음성장애아동 환자군의 아동 보고의 경우 6번을 제외하고 변별력이 있는 문항으로 나타났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