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s was investigat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names, mood, tense, classification from phase, and various meaning and features of modality. This identified the features of modality expression in Ko...

The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s was investigat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names, mood, tense, classification from phase, and various meaning and features of modality.
This identified the features of modality expression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comparison on the modeality expression in both languag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in usage. Next, this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inguistics by identifying the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Section 1 described the background and purposes of the research. It also examined the literature in two aspects, modality category and classification. Furthermore, the direction of discussion was presented by determining the subjects of research. Modality was divided into epistemic modality, deontic modality and dynamic modality using the three-way classification frequently used in China.
Section 2 discussed the definition, name, implementation method and expression items of modality as the theoretic background. The expression items of modality in Korean were selected as follows: ‘-ㄹ 수 있다(can)’, ‘-ㄴ/는/ㄹ 것 같다(seem)’, ‘-ㄴ/는/ㄹ 듯하다(seem)’, ‘-ㄴ/는/ㄹ 듯싶다(seem)’, ‘-ㄴ/는/ㄹ 모양이다(likely to)’, ‘-ㄴ가/는가/나 보다(seem)’, ‘-ㄹ 것이다(will)’, ‘-겠-’, ‘-아/어/여도 되다(get to be)’, ‘-아/어/여야 하다/되다(get to be)’, ‘-ㄹ 줄 안다(know)’, ‘-ㄹ 래’, ‘-(으)려고 하다(try)’, ‘-고자 하다(aim)’, ‘-고 싶다(want)’, ‘-ㄹ 만하다(be enough)’. The expression items of modality in Chinese were as follows:: ‘可能, 能, 应该, 会, 要, 可以, 应该(应当), 得, 必须, 能(能够), 想要, 打算, 想, 值得’.
Section 3 ‘Modality Expression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vided the modality into epistemic modality, deontic modality and dynamic modality and executed semantic and syntactic comparison. The epistemic modality was classified into ‘possibility’, ‘probability’ and ‘certainty’ in accordance witih the classification by Palmer and Go Yeonggeun. For the ‘possibility’ expression, the relation between ‘-ㄹ 수 있다’ and ‘能, 可能’ was examined. The ‘certainty’ expression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ㄹ 것이다’, and ‘会, 应该’; ‘-겠-’ and ‘要’.
The deontic modality was classified into ‘approval’ and ‘oblig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cation by Palmer. The ‘approval’ expression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아/어/여도 되다’ and ‘可以’, and between ‘-ㄹ 수 있다’ and ‘能’. The deontic expression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아/어/여야 하다/되다’, and ‘应该’, ‘要’, ‘得’ and ‘必须’.
The dynamic modality was classified into ‘ability’, ‘intention’ and ‘assessment’. The ‘ability’ expression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ㄹ 수 있다’ and ‘能(能够) and 可以’, and between ‘-ㄹ 줄 알다’ and ‘会’. The intention expression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겠-’, ‘-ㄹ 것이다’, ‘-ㄹ래’ and ‘要’, between ‘-려고 하다’, ‘-고자 하다’ and ‘打算’, ‘想要’, and between ‘-고 싶다’ and ‘想’. The 'assessment' expression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으)ㄹ 만하다’ and ‘值得’.
Section 4 conclusion summarized the discussion above.

한국어학과 중국어학에서 양태에 관한 논의들은 범주의 명칭 문제부터 시작하여 이와 관련된 범주인 서법, 시제, 상과의 구분, 양태의 여러 가지 의미 특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

한국어학과 중국어학에서 양태에 관한 논의들은 범주의 명칭 문제부터 시작하여 이와 관련된 범주인 서법, 시제, 상과의 구분, 양태의 여러 가지 의미 특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을 문법적, 의미적으로 대조하여 두 언어의 양태 표현의 특징을 밝히고 사용상의 대응관계를 살펴본 다음,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에 대한 서술을 하였고, 이와 관련된 연구사를 양태 범주와 양태 분류의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대상이 되는 항목들을 제시하고 범위를 확정함으로써 논의의 전개 방향을 제시하였고 중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삼분법을 사용하여 양태를 인식 양태, 의무 양태, 동적 양태로 구분하였다.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양태의 정의, 명칭, 실현 방법과 표현 항목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양태 표현 항목으로는 ‘-ㄹ 수 있다’, ‘-ㄴ/는/ㄹ 것 같다’, ‘-ㄴ/는/ㄹ 듯하다’, ‘-ㄴ/는/ㄹ 듯싶다’, ‘-ㄴ/는/ㄹ 모양이다’, ‘-ㄴ가/는가/나 보다’, ‘-ㄹ 것이다’, ‘-겠-’, ‘-아/어/여도 되다’, ‘-아/어/여야 하다/되다’, ‘-ㄹ 줄 안다’, ‘-ㄹ 래’, ‘-려고 하다’, ‘-고자 하다’, ‘-고 싶다’, ‘-ㄹ 만하다’를 선정하였고, 중국어의 양태 표현 항목으로는 ‘可能, 能, 应该, 会, 要, 可以, 应该(应当), 得, 必须, 能(能够), 想要, 打算, 想, 值得’을 선정을 하였다.
제3장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 대조’에서는 양태를 ‘인식 양태’, ‘의무 양태’, ‘동적 양태’로 나누어 의미적․통사적 대조를 하였다. 인식 양태는 Palmer와 고영근의 분류에 따라 ‘가능성’, ‘개연성’, ‘확실성’으로 분류하였다. ‘가능성’ 표현에서는 ‘-ㄹ 수 있다’와 ‘能, 可能’을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고, ‘확실성’ 표현에서는 ‘-ㄹ 것이다’와 ‘会, 应该’; ‘-겠-’과 ‘要’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다.
의무 양태는 Palmer의 분류에 따라 ‘허가’와 ‘의무’로 분류하였다. ‘허가’ 표현에서는 ‘-아/어/여도 되다’와 ‘可以’, ‘-ㄹ 수 있다’와 ‘能’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고, ‘의무’ 표현에서는 ‘-아/어/여야 하다/되다’와 ‘应该’, ‘要’, ‘得’, ‘必须’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다.
동적 양태는 ‘능력’, ‘의도’, ‘평가’로 분류하였다. ‘능력’ 표현에서는 ‘-ㄹ 수 있다’와 ‘能(能够), 可以’, ‘-ㄹ 줄 알다’와 ‘会’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고, ‘의도’ 표현에서는 ‘-겠-’, ‘-ㄹ 것이다’, ‘-ㄹ래’와 ‘要’, ‘-려고 하다’, ‘-고자 하다’와 ‘打算’, ‘想要’, ‘-고 싶다’와 ‘想’의 대응 관계를, ‘평가’ 표현에서는 ‘-ㄹ 만하다’와 ‘值得’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4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