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 교육 목표와 수업 모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education objectives and a teaching model of Korean literature for foreigners, apply them to teaching sites, and to verify them. For this, we have researched the needs of learners and teachers using methods su...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education objectives and a teaching model of Korean literature for foreigners, apply them to teaching sites, and to verify them. For this, we have researched the needs of learners and teachers using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irst. Learners were research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typ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needs analysis, in the first stage we set common and detailed objective by the type of learner. Then, we described common teachings by the type of learner and the parts which have to be different in detail.
The next stage, we designed a teaching model which allows teachers to educate Korean literature more effectively, reflecting the needs of both learners and teachers. The teaching model which is designed in this article consists of a planning stage, classroom teaching stage, as well as extending stages to the outdoors (outside of classroom). Teaching methods are based on discussions and dialogues referencing the theories of Flusser, V. and Naoko Shioya.
Discussions and dialogues in the class should show the gradually developing form. Also, they should be developed to balance each other. They should be extended to discussions and dialogues outside of the classroom through voluntary efforts or tasks of the learners.
Based on such basic teaching models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learner, emphasis on certain roles will be different considering the teaching method. The teaching model centering on the discussion led by the teacher can be applied to the class for marriage immigrant. The teaching model centering on discussion leaded by the learner can be applied to the class for those who major in Korean and learners with a specific purpose for study. The teaching model centering on the dialogue between learner and teacher can be applied to classes for marriage immigrant and learners with the purpose of finding a job. The teaching model centering on dialogue among learners can be applied to classes for learners who study at foreign universities, those who major in Korean, and learners with the purpose of finding a job.
This article applied the above teaching models to actual classes, using them on various types of learners several times and analyzing their effects.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such classes have been somewhat effective in reaching either common goal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or detailed goals, depending on the type of learner. First, learners achieved common goals to make them appreciate literary works with pleasure to certain degree. Also, based on vivid literary texts, they can extend the themes in various ways. With this, they have improved their Korean skills and have acquired much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literary works used. In addition, the scope of their thinking has been extended with a variety of indirect experiences.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 목표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설문지, 면담, 관찰 등의 방법...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 목표와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설문지, 면담, 관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학습자는 한국의 대학에서 공부하는 일반적인 학문 목적 학습자, 한국 대학에서 국어 계열을 전공하는 유학생, 해외 대학에서 한국어나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습자, 결혼이민자, 취업 목적 학습자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먼저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 교육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학습자 유형별 공통 목표는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문학 작품을 즐겁게 읽고 감상하면서 체험을 확장할 수 있다. 둘째, 한국문학 작품을 통해 사회, 문화, 문학 등에 대한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한국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는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학습자의 학습 상황과 학습 목적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별 세부 목표도 설정하였다. 학습자들의 요구를 살펴보면 선호하는 문학 작품의 주제나 장르가 학습자의 유형별로 공통되는 부분도 있고 차이나는 부분들도 있다. 학습자별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이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 유형별로 공통적으로 가르칠 내용과 세부적으로 차이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다음은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를 반영하면서 한국문학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수업 모형은 계획 단계, 교실 수업 단계, 외부(교실 밖)로의 확장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업 방법은 빌렘 플루서(Flusser, V.)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시오야 나오코(?谷奈?子)의 교실문화 만들기 등을 참고한 담론과 대화, 구체적으로는 교사, 학습자,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담론과 대화를 바탕으로 한다.
수업에서 담론과 대화는 점차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형태를 보여줘야 한다. 교사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경우부터 학습자의 유도에 의해 학습자가 주도하는 데 이르기까지 발전의 단계가 이어진다. 또 담론과 대화는 서로 균형을 이루면서 발전해 나가야 한다. 대화로 시작해서, 담론으로 이어지고, 담론을 바탕으로 대화를 나누다가 다시 담론이 필요할 때는 담론을 제공한다. 이러한 담론과 대화는 과제나 학습자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해 교실 밖 상황에서의 담론과 대화로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본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하면서 학습자의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누구의 어떤 역할에 중점을 둘 것인지를 달리 한다. 교사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담론의 비중을 높여서 수업을 구성하는 교사 주도의 담론 중심 수업 모형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와 교사에게 담론의 정보를 전달하는 학습자 주도의 담론 중심 수업 모형은 학문 목적 학습자와 국어 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자와 교사의 대화가 수업의 중심이 되는 학습자와 교사의 대화 중심 수업 모형은 취업 목적 학습자와 결혼이민자를 위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자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하는 학습자 간 대화 중심 수업 모형은 해외 대학 학습자, 국어 계열 전공자, 취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수업 모형을 여러 차례에 걸쳐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효과를 분석해보았다. 우선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단군신화> 수업은 학습자 주도의 담론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다. 국어 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춘향전> 수업은 학습자 주도의 담론과 학습자 간 대화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었다. 다음은 해외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 간 대화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한 <오렌지 맛 오렌지>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서동요>와 <온달전>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수업은 교사 주도의 담론 중심과 학습자와 교사의 대화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었다.
수업 분석 결과를 보면 학습자의 유형별로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실시한 수업들이 한국문학 교육의 공통 목표나 학습자 유형에 따른 세부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느 정도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우선 학습자들이 문학 작품을 즐겁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적인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 또 있는 그대로의 생생한 문학 텍스트를 바탕으로 수업을 하기 때문에 한정된 국면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하게 주제를 확장시켜 나갈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활용 능력 향상은 물론 문학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다양한 간접 경험을 하면서 생각의 폭도 넓어졌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