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인지의미론의 방법으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지의미론은 언어를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
본고는 인지의미론의 방법으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지의미론은 언어를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객관 세계에 대한 개념화로 보고 연구하는 방법론으로, 개념화 과정은 물리적․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공간 경험은 인간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신체적 경험이며, 따라서 우리는 덜 구체적인 경험을 개념화하기 위해 공간 경험을 사용한다. 이미 많은 인지언어학적 연구가 비공간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를 사용하는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포착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고는 현대중국어에서 공간 개념의 하위 개념인 공간 척도 개념을 나타내는 공간척도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들 어휘의 의미와 의미 확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어에서 공간 척도를 가지고 비공간 경험을 인지하고 표현하는 개념화 방식을 밝혔다.
공간척도사는 차원 공간에서 존재하는 사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량 혹은 두 사물 간 떨어져 있는 거리의 양에 대한 척도의 의미를 원형의미로 삼는 어휘이다. 통사적․의미적 기준에 근거하여 본고는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를 ‘大/小’, ‘长/短’, ‘宽/窄’, ‘高/低(矮)’, ‘厚/薄’, ‘深/浅’, ‘粗/细’, ‘遠/近’ 등의 여덟 쌍으로 규정하고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먼저 개별적인 시각에서 중국어 공간척도사 각 대립어 쌍의 의미를 자형의미․원형의미․확장의미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자형의미는 이들 어휘들이 가지는 글자로서의 어원적 의미이며, 자형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어 공간척도 개념의 문자화가 공간사물과 공간이동 개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는 공시적인 측면에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단어로서의 의미이다.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원형의미인 공간량 척도의미를 고찰함에 있어서 인지의미론의 바탕․윤곽․탄도체․지표 등의 개념을 적용하였고, 공간척도사 원형의미의 서술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x차원의 대상 공간물을 바탕으로 두고, 이 공간물의 y차원적인 공간량(tr)과 기준(lm)의 관계를 윤곽으로 부각한다. (x≥y)
이 모형을 가지고 본고는 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원형의미의 의미구조를 규명하였고, 아울러 영상도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이러한 원형의미가 공간영역에서 출발하여 사물은유․그릇은유․지향적 은유․구조적 은유․주관화 등 다양한 기제에 의해서 감각․시간․사건․추상․주관영역 등 다양한 인지영역으로 폭넓게 투영되어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 의미 확장의 신체적․인지적․문화적 근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의미와 의미 확장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정리하여, 한국어․영어의 경우와 대조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언어의 공간척도사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은 공통점이 주를 이룬다. 이는 인간이 공통된 물리 환경과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통점 외에 차이점도 있는데, 지각, 시간 및 추상물에 대한 개념화에 있어서 중국어가 한국어와 영어보다 공간척도 개념에 더욱 의존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본고는 중국인의 전체적이고 공간적인 사유 방식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본고는 중국어 공간척도사 8쌍을 대상으로 삼고, 이들 어휘의 자형의미․공간의미․확장의미를 살피고 이에 반영된 공간척도 개념과 비공간 경험의 개념화 방식을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한국어․영어의 개념화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서 보편성과 상대성을 규명하였고 아울러 그것의 물리적․문화적․인지적 근거를 밝혔다. 이로써 공간척도사의 의미 및 공간척도와 관련된 개념화 방식을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