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discourse marker ‘not’ between Korean and Chinese from
pragmatic function, morphology and syntax structure. So that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can understand it better.
Chapter 1 clarifies the study p...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discourse marker ‘not’ between Korean and Chinese from
pragmatic function, morphology and syntax structure. So that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can understand it better.
Chapter 1 clarifies the study purpose, necessity, scope and methods of the thesis. At the
same time it has made a conclusion of the prior studies.
Chapter 2 introduces the conception, feature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in both
Chinese and Korea previous studies. Meanwhile, this chapter sets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benchmarks of discourse markers basing on the prior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dictionary meanings of the discourse marker ‘아니’and ‘不是’,
chapter 3 fin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re are three similarities between them. First, the basic meaning of both ‘아니’ and ‘不是’ is negative. Second,
they are all a kind of confirmation. Third, they are usually used for emphasis.Differences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不是' as a noun means mistakes or
wrong but ‘아니’does not have this meaning. Second, ‘不是' is used to confirm something in rhetorical aspect. Third, ‘아니’ has the meaning of expressing surprise in
dictionary but ‘不是’ does not. Chapter 4 illustrates the pragmatic features, morphological features, syntactic features of
‘아니’and ‘不是’. Firstly, the common pragmatic features are expressing surprise
function, expressing complaints function, self-defense function, interrupting conversations,
self-correcting and the expressing rejection. The function that only ‘아니’ has is earning
time, hemming, supplemental instruction and focusing attention. The function that ‘不是’
has is self-referral function.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the pragmatic functions,
it can be found that focusing attention function and self-defense function of ‘아니’ are
frequently and widely used in daily verbal communication. On the contrary, self-defense
function, expressing complaints function, expressing surprise function and expressing
rejection function of ‘不是’ are frequently used. In addition, this chapter analyzed the morphological features. ‘아니’ has two characteristics. First, when giving a negative
answer to the problems of others, ‘아니’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요’.
Otherwise ‘아니’ can be not as a discourse marker. Second, the discourse marker ‘아
니’ is different from the adjective ‘아니다’, because it cannot add suffix. One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is that regular sex is very strong. In addition,
the similarity of the syntactic structure ha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t is
commonly used as a self-correcting function which appears in the middle of a sentence.
Second, ‘아니’ and ‘不是’ can be used independently in the sentence. Third, they
generally appear in both narrative sentences, interrogative sentences and rhetorical
sentence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syntactic structure between ‘아니’ and ‘不是’
is analyzed. First, ‘아니’ is not limited by the worship of grammar. Second, ‘아니’
mainly appears in narrative words, while ‘不是’ often appears in the rhetorical.
In a word, the pragmatic function of Korean ‘아니’ is more various than Chinese ‘不
是’. Because the useage of ‘不是’ may humiliate the listener, so it is usually used
between intimate friends or family members but rarely between strangers. By analyzing
the spoken language data, this thesis has introduc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아니’ and ‘不是’ in pragmatic function, syntactic features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s. It will be helpful to Chinese learners to know more about Korean.
본 연구는 한국어 담화표지 ‘아니’와 중국어 ‘不是’의 화용기능, 형태적 특징 및 통사적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습자가 ‘아니’의 다양한 의미...
본 연구는 한국어 담화표지 ‘아니’와 중국어 ‘不是’의 화용기능, 형태적 특징 및 통사적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습자가 ‘아니’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1장에서 연구목적 , 필요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한국어와 중국에서 담화표지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다양한 논의를 정리하여 담화표지의 개념, 특징 및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담화표지의 기능을 참고하여 담화표지 ‘아니’와 ‘不是’의 기능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3장에서 ‘아니’ 와 ‘不是’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냈다. 공통점은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아니’와 ‘不是’의 기본적인 의미는 다 부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둘째, 반어문에서 확인하려는 의미를 가진다. 셋째, 어떤 사실을 더 강조할 때 쓰는 말이다. 다음으로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첫째, ‘不是’는 명사로서 ‘실수나 잘못’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아니’는 이런 의미가 없다. 둘째, ‘不是’는 반어문에서 확인하기 위해 쓰일 수 있다. ‘아니’는 이런 의미가 없다. 셋째, ‘아니’는 놀라움을 나타낼 수 있지만 사전적 의미에서 ‘不是’는 이런 뜻이 없다.
4장에서 담화표지 ‘아니’와 ‘不是’의 화용기능, 형태적 특징, 통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공통적으로 가진 화용기능은 놀라움을 나타내기 기능, 불만 표시 기능, 자기 방어 기능, 끼어들기 기능, 발화수정 기능, 거절한 마음을 표현하기 기능 등이 있다. ‘아니’ 만 가지는 기능은 시간 벌기 기능, 얼버무리기 기능, 보충 설명 기능, 주의 집중 기능 등이 있다. ‘不是’만 가지는 기능은 자기추천 기능이 있다. 화용기능의 사용 빈도수를 대조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아니’는 주의집중 기능과 자기 방어 기능을 제일 많이 사용되는 반면에 ‘不是’는 자기방어기능, 불만 표시 기능, 놀라움을 나타내는 기능 및 거절한 마음을 표현하기 기능이 제일 많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아니’의 형태적 특징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상대방이 묻는 말에 부정하여 대답할 때 쓰이는 ‘아니’는 청자높임의 ‘요’와 결합할 수 있으나 담화표지‘아니’는 그렇지 못 한다. 둘째, 형용사 ‘아니다’ 와 달리 활용어미들이 올 수 없다. ‘不是’의 형태적 특징은 ‘아니’와 같이 형태적 고정성이 높다. 통사적 특징의 공통점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어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말 중간에서 나타난 경우는 주로 발화수정 기능을 수행할 때이다. 둘째, ‘아니’와 ‘不是’는 문장의 다른 성분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아니’와 ‘不是’는 주로 서술문, 의문문, 반어문에서 사용된다. ‘아니’와 ‘不是’의 차이점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아니’는 청자 높임법 제약 받지 않는다. 둘째, ‘아니’는 주로 서술문에서 사용되고 ‘不是’는 주로 반어문에서 사용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어 ‘아니’는 중국어 ‘不是’보다 의미기능이 많고 ‘아니’의 사용도 활발하게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不是’의 사용은 상대방의 체면 손상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친한 친구 사이나 가족들 끼리 대화할 때만 쓰일 수 있으나 모르는 사이이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구어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이 두 담화표지의 화용기능, 형태적 특징 및 통사적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