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학공간 현장학습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의사소통능력까지도 향상시켜주는 효율적인 한국 문학 학습 방법론을 찾는데 목...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학공간 현장학습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의사소통능력까지도 향상시켜주는 효율적인 한국 문학 학습 방법론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대부분 문학과 현장학습은 문화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소극적이고 단편적인 학습 형태를 유지해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학은 외국어를 목표로 하는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권의 문화적 향기를 느끼게 하여 문화의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점에서 학습자 중심의 작품 해석과 문학의 총체적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학습 공간을 문학공간으로 이동하여 학습자들이 문학의 역동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문학공간은 작가와 작품과 독자가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특히 한국문학과 문화 그리고 사회에 대한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문학을 위한 직접적인 학습 장소로 활용성이 있다. 또한 문학공간에서의 직접 경험, 즉 문학공간 현장학습은 작품을 좀 더 쉽고 친근하게 받아들이게 하고, 더욱 뚜렷한 학습 목표를 주어 적극적인 수업 참여의 동기를 부여한다. 더욱이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 가능성도 제공하여 의사소통 능력까지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문학공간 현장학습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특별 수업으로서 문학공간 현장학습 전 단계, 문학공간 현장학습의 단계, 문학공간 현장학습 후 단계로 3단계를 기본으로 하였다. 하지만 학습자를 고려하여 문학공간 학습 전 단계를 텍스트 분석을 통한 1차 경험과 현장학습을 계획하는 단계로 나누어 전체적으로 4단계로 구성하였다.
학습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제 2장에서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의의와 문학공간에 대해 고찰하였고, 현장학습의 이론적 틀을 존 듀이의 경험 교육론을 바탕으로 뒷받침하였다. 제 3장에서는 문학공간을 문학관을 한정하여 그 역할과 상황을 살펴보고, ‘이효석 문학관’의 운영 사례를 통해 한국문학 학습에 미칠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 4장에서는 문학공간 현장학습의 운영원칙을 제시하고, 작가 이효석과 「메밀꽃 필 무렵」과 관련된 공간인 ‘이효석 문화마을’을 예로 문학공간과 문학작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문학공간 현장학습의 학습 방안과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문학 텍스트와 문학공간 현장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문학경험을 심화하고 확대하여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장학습이 일회성의 행사가 아닌 문학 교육의 또 다른 방법으로 실천해 나가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학습 안을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검증과 분석의 결과를 얻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작품을 통해 문학공간 현장학습을 활용한 한국문학 교육의 실용화 방안을 모색해야하는 과제가 남는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