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어 보조용언과 선행 어미의 통합형에 대하여 형태·통사적인 특징과 의미·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보조용언의 활용 제약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문법을 배우는 외국인의 학습 효...
이 글은 한국어 보조용언과 선행 어미의 통합형에 대하여 형태·통사적인 특징과 의미·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보조용언의 활용 제약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문법을 배우는 외국인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한국어 보조용언은 형태적으로 본용언과 같지만 특정 어미와 결합한 구성으로 쓰여 본용언으로 쓰일 때와는 다른 상적, 양태적 의미·기능을 나타낸다.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어미를 중심으로 각 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의 형태적, 의미·기능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보조용언에 접근하기 위해서 한국어 보조용언의 목록을 알아보고자 하여 2장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어 교재, 《한국어 사용 빈도 조사 2》,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기존 연구에서의 보조용언의 목록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한국인의 한국어 사용 환경에서 어떤 보조용언이 쓰이고 있는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보조용언과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분류하고 논의하였다. 보조용언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Ⅰ유형, Ⅱ유형, Ⅲ유형으로 나누었다. Ⅰ유형은 연결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 Ⅱ유형은 전성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 Ⅲ유형은 종결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이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한 것에서 결합 제약이나 활용 제약을 보인 보조용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제약에 대하여 한 가지 형태만 존재하는 보조용언을 강제약형으로, 활용형이 두세 가지 정도 나타나는 경우에는 약제약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강제약형은 ‘-아/어 가지고’, ‘-(으)ㄹ까 봐’, ‘-다(가) 못하여’ 등이 있었고, 약제약형은 ‘-고 나니/나면/나서’, ‘-고 보니/보면’, ‘-고 해서/하니’, ‘-았/었으면 하다’ 등이 있었다. 이러한 제약형에 대해서는 한국어 교재나 한국어 사전에서 용언의 기본형이 아닌 제약형의 형태로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Korean main and auxiliary verbs are morphologically equivalent. However, when combined with certain prefinal endings, the latter becomes quite distinct from the former in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and functions. The fact that these two types of ver...
Korean main and auxiliary verbs are morphologically equivalent. However, when combined with certain prefinal endings, the latter becomes quite distinct from the former in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and functions. The fact that these two types of verbs look similar poses a serious challenge to Korean language learners, necessitating the investigation of the specific morphological, semantic, and functional contexts in which auxiliary verbs combine with certain prefinal endings.
Thus, this thesis aims to improve the efficacy of Korean grammar learning for non-native Korean speakers by investigating Korean auxiliary verbs combined with prefinal endings in terms of their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of their meaning and function.
In chapter II, we analyze data from sources, such as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The List of Words in the Investigation of Frequently Used Modern Korean Words II, and The Report on the Vocabulary Chosen for Learning Korean, to investigate what lists of auxiliary verbs are available from existing research, what auxiliary verbs are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in natural Korean language settings, and how auxiliary verbs are introduced and taught in KSL education.
In chapter III, we classify auxiliary verbs according to prefinal endings that are connected to them: type I, type II, and type III. Type I auxiliary verbs are combined with conjunctive endings; type II, conversion endings; and type III, final endings.
Finally, Chapter IV investigates in more detail those auxiliary verbs that have been found in the previous chapter to be restricted in combination or conjugation. These restricted auxiliary verb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strongly restricted and weakly restricted. The strongly restricted type has only one form and there is no conjugation. Verbs in this type include “-a/eo gajigo,” “-(eu)lkka bwa,” and “-da(ga) mothayeo.” On the other hand, the weakly restricted type has two or three conjugational types, and it includes “-go nani/namyeon/naseo,” “-go boni/bomyeon,” and “-go haeseo/hani.” Regarding these restricted types, this thesis suggests that KSL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must include not the base forms but the concrete conjugational forms of these restricted verb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