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부정적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것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반드시 학습해야 할 어...
본고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부정적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것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반드시 학습해야 할 어휘 중 하나이다. 또한, 결혼이민자의 경우 모국을 떠나 낯선 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때문에 그 삶에 완전히 적응하기 위해서 내면의 울림인 감정 어휘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나는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 부적응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고에서는 감정 어휘 중 부정적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감정 어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그간의 감정 어휘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야별로 정리하였으며 각각의 논의방향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대상인 감정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감정 어휘의 기준을세워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3장에서는 감정 어휘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전체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의 현황을 정리했다. 다음으로 감정 어휘 교육의 현황으로 학습용 어휘 목록과 여러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감정 어휘 교육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감정 어휘를 추출하여 목록으로 정리했다. 그 결과 긍정적 감정 어휘에 비해 부정적 감정 어휘가 더 다양하지만 제시된 수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불균형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OPIK 기출 문제를 분석하여 감정 어휘의 평가 방식을 알아본 결과 고급 단계만의 새로운 문제 유형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휘 조사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기본 감정 어휘를 선정하여 분석했다. 4장에서는 ‘21세기 세종 기획 말뭉치’를 분석하여 부정적 감정 어휘의 사용 현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부정적 감정 어휘는 한국인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 내용 중 구어를 대상으로 부정적 감정 어휘의 결합 구성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정도부사와의 결합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