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specifically look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 a subarea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Despite there being a larg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omestic and foreign mis...
This study specifically look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 a subarea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Despite there being a larg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omestic and foreign mission, the fact is that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it.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and analyzing the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search for a way to revital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omestic and foreign mission.
Chapter II is a summary of the current state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which includes marriage migrant wom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missionary kids -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This chapter also includes a brief scheme of Korean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subject.
In Chapter III, to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 abroad, the writing has been based on researcher's field study outside of Korea. I introduc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in three East African countries (Kenya, Uganda, Tanzania) and Life University of Cambodia in Southeast Asia. I also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s well as a Korean language professor's preparations for the Korean classes. Advantages of being a Korean language teacher in China for missionary purpose are also mentioned.
Chapter IV proposes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invigo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First, an overall needs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 target students is necessary. Second, we can see the need to develop various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These textbooks must be practical teaching material that take into account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class size, use of Korean language in different situations etc. Also the research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For that, register analysis must be done using the evaluation of the target student's daily conversation and corpus. Third, educational materials for professo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must be developed and systematic training for teachers must continually carried out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teaching, in and out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has become familiar, and ways of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in and out of Korea are sought by analyzing the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ssion.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tate and the ways of improvement of teaching Korean for missionary purpose, but stops there, not progressing onto detailed teaching methods nor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 assignment left to be done.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for teaching Korean for missionary purpose.
현재 국내외적으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이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하위 영역인 선교...
현재 국내외적으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이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하위 영역인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를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외에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선교 목적 한국어와 특수 목적 한국어와의 개념 및 상호관계를 정리해 보았다.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은 선교 목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정 언어 표현을 강조한다는 면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국내외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세 가지 영역을 선교 현장, 해외 한인교회, 국내 교회와 선교단체로 나누어 현황과 그 공통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II장에서는 국내에서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 대상자로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이 되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 다문화 가정 자녀,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그리고 해외 파송 선교사의 귀국 자녀들의 현황과 그 대상자 각각에 따른 문제점들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III장에서는 해외에서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기술하였다.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그리고 중국 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한국어 교수로서의 준비 과정 및 선교 수단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갖는 장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외에서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의 하나는 적합한 교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재 출간된 ‘함께 배우는 한국어’ 시리즈 네(4)권의 교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의 분석을 통하여 선교사 자녀들을 위한 교재 현황의 점검과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연세 한국어’ 시리즈와도 비교해 보았다.
IV장에서는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21세기 발전 방향과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선교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의 다양성을 수용하기 위한 전면적인 요구 분석(Needs Analysis)이 필요하다. 둘째, 좀 더 적합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는 학습자의 특성과 수업 규모, 한국어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한 실용적인 교재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 담당 교사를 위한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하고, 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교사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끝으로,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하여 정책수립을 할 것과 소위 5C 비전 (Communication, Cultures, Connections, Comparisons, Communities)을 고려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및 한국 교회와 선교단체들 간의 긴밀한 협력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일별할 수 있었고,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통하여 간략하나마 국내외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보안 관계상 중국 현지에서 사역하고 있는 한국어 교수 선교사들에 대한 구체적인 성공 사례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 본 연구는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제시에 치중하고 개선 방안의 제시가 미흡하여 교재 개발이나 교육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이를 향후 연구 과제로 남기면서, 본 연구가 앞으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는 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