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敎育을 위한 談話標識의 特性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explores the syntax and semantics of discourse markers. The definition of discourse marker is problematic since not all discourse markers share a single syntactic category, though a great number of them are adverbs. Syntactically, most disc...

This study explores the syntax and semantics of discourse markers. The definition of discourse marker is problematic since not all discourse markers share a single syntactic category, though a great number of them are adverbs. Syntactically, most discourse markers are detached from the rest of the sentence they appear in. Since discourse markers expres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s and the intention of utterance, they play a role in leading smooth conversations as discourse tactics, reducing discord in conversation and letting listeners who are conversation participants know speakers' intention.
Chapter 1 investigated the necessity and goal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previous study about the discourse markers.
At the chapter 2 investigates the definition of discourse intended to look at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English and then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was defined after comparing with it. It in particular cites connectivity and optionalit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s a criter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discourse marker.
Chapter 3 introduces conjunctive adverb as a typical discourse markers which have syntactic properties connected discourse function.
Chapter 4 examines pragmatic functions of interjection excluded from discourse markers and explains the reasons.
Chapter 5 provides teaching methods needed for teachers by classifying contrastive discourse marker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on the basis of the syntactic function, semantic meaning, and pragmatic meaning
In this study, a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individual discourse markers is remained.

談話標識는 意思疏通 狀況에서 話者의 發話 意圖를 명확하게 드러내줄 수 있으며, 發話間 結束性(cohesion)과 凝集性(coherence)을 갖게 해서 話者의 意圖가 聽者에게 정확하게 전달되고 해석될 ...

談話標識는 意思疏通 狀況에서 話者의 發話 意圖를 명확하게 드러내줄 수 있으며, 發話間 結束性(cohesion)과 凝集性(coherence)을 갖게 해서 話者의 意圖가 聽者에게 정확하게 전달되고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談話標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韓國語敎育에서는 談話標識에 대한 교육은 문법, 어휘와 같은 統辭論的 敎育에 비해 매우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직 談話표지에 관한 연구는 일치된 정의가 내려진 바 없고 한국어 교육 기관들에서 실행되고 있는 談話標識 교육은 아직 體系的이지 못하다. 따라서 談話標識의 개념과 정의를 다시금 살펴봄으로써 명확한 定義를 내리고 特性을 확인하고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談話標識의 記述 方案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해 이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談話標識의 정의에 대해 먼저 영어를 대상으로 한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국어의 경우를 비교하면서 그 한계를 규정하였다. 특히 談話標識의 특성으로 連結性과 隨意性을 들어 談話標識의 識別基準으로 삼았다.
제3장에서는 전형적인 談話標識로서 接續副詞의 統辭的 特性이 어떻게 談話標識의 기능으로 연결되는지를 파악하여 담화표지의 특성을 재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間投詞와 感歎詞의 範疇가 살펴보고 談話標識의 特性을 확인하여 그 話用論的 機能을 인정하지만 談話標識의 範疇에서 제외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에서 확인한 談話標識의 특성과 기능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다루었다. 대부분의 談話標識가 基礎語彙的인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目錄으로 位階化하기보다는 形態ㆍ統辭, 意味論的 意味, 話用論的 機能 등 3단계로 나누어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記述 方案을 탐색하였다.
硏究에서는 個別 談話標識의 意味에 대한 논의를 다루지 못하였으나 그에 대한 明示的이고 客觀的인 硏究가 필요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