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쓰기 후 활동에 활용할 ‘학습자 평가표’를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을 통해 실험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여 초급 단계 학습자의 자유 작문 지도 자료로 활...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쓰기 후 활동에 활용할 ‘학습자 평가표’를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을 통해 실험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여 초급 단계 학습자의 자유 작문 지도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단계 쓰기 영역 자유 작문의 쓰기 후 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선행 연구 자료의 검토는 쓰기 영역 중 쓰기 후 피드백에 관한 것과 한국어능력시험 관련 연구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쓰기 후 피드백 관련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필요성, 피드백의 방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피드백의 방법으로 교사의 서면 피드백, 학습자 상호 피드백, 자기 점검식 주석, 피드백 후 오류일지 작성과 다시 쓰기 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있었는데,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기준을 활용한 연구 사례는 없었다. 한국어능력시험 관련 연구에서도 한국어능력시험의 출제에 대한 고찰이나, 기출 문제를 분석한 고급 단계의 쓰기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초급 단계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기준을 근거로 ‘학습자 평가표’를 제작하여 자유 작문의 쓰기 후 지도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용성을 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학습자 평가표’에 의해 학습자가 직접 자신의 작문을 평가해 보는 그룹B와 그렇지 않은 그룹A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두 그룹 모두에게 작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다시 쓰기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내용 및 과제 수행’, ‘글의 전개 구조’, ‘언어 사용의 다양성’, ‘언어 사용의 정확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 문제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및 과제 수행’ 부문에서 그룹B는 실험 기간 동안 평균 성적이 1.67점(18.61%)이 증가하여 0.25점(2.77%)의 성장을 보인 그룹A보다 성적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에서는 유의확률(양쪽) 평균이 0.036으로 유의 수준인 0.05보다 낮으므로 두 그룹 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인정된다. 이로써 그룹B는 그룹A보다 ‘내용 및 과제 수행’ 부문의 성적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고, ‘학습자 평가표’의 적용은 ‘내용 및 과제 수행’ 부문 지도 자료로의 효용성을 검증받았다.
둘째, ‘글의 전개 구조’ 부문에서 그룹B는 0.97(16.25%), 그룹A는 평균 0.82점(13.75%)이 증가하여 두 그룹 모두 성적 향상이 있었고, ‘학습자 평가표’를 적용한 그룹B의 성적이 더 높았지만 두 그룹 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제2차 실험을 제외하고는 유의확률(양쪽)이 모두 유의 수준인 0.05보다 높은 값으로 나타나서 두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자 평가표’의 적용은 ‘글의 전개 구조’ 부문 지도 자료로의 효용성을 검증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가 평가표의 구성의 문제인지 실험 기간의 문제인지 또는 다른 이유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언어 사용의 다양성’ 부문에서 그룹B는 2.55점(28.33%), 그룹A는 1.00점(11.11%)이 향상되었다. 그룹B는 그룹A보다 1.55점(17.22%)이 높았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유의확률(양쪽) 평균이 0.027로써 유의 수준인 0.05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그룹B는 그룹A보다 ‘언어 사용의 다양성’ 부문의 성적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자 평가표’의 적용은 ‘언어 사용의 다양성’ 부문 지도 자료로의 효용성을 검증받았다.
넷째, ‘언어 사용의 정확성’ 부문에서 ‘학습자 평가표’를 적용한 그룹B의 성적이 1.375점, 그룹A는 0.375점 성장을 보였다. 그룹B는 그룹A보다 1.00점(16.66%)이 높았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유의확률(양쪽)이 1차(1.374), 2차(0.305), 3차(0.089), 4차(0.080), 5차(0.002)로 나타났다. 실험이 거듭될수록 유의확률이 점점 낮아지다가 5차에서는 유의 수준인 0.05보다 낮아졌다. 이러한 변화 추이는 ‘언어 사용의 정확성’ 부문에서는 단기적 지도보다는 장기적으로 지도할 때 효용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그룹B는 그룹A보다 ‘언어 사용의 정확성’ 부문의 성적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고, ‘학습자 평가표’의 활용은 ‘언어 사용의 정확성’ 부문 지도 자료로의 효용성을 검증받았다.
또한 두 그룹의 평균 성적에 대한 차시별 분석 결과 유의확률(양쪽)이 1차(0.784), 2차(0.033), 3차(0.014), 4차(0.004), 5차(0.016)로 유의 수준인 0.05보다 낮았다. 그러므로 두 그룹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실험 결과 나타난 두 그룹의 성적 차이는 지도 방법을 달리한 데에 기인한 것으로 ‘학습자 평가표’ 활용의 효용성이 검증된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연구에서 제기했던 연구 문제 1에 대한 예상 결과는 일부만 검증되었다. ‘내용 및 과제 수행’ 부문에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평균 성적 또한 ‘학습자 평가표’를 적용한 그룹B가 그렇지 않은 그룹A보다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글의 전개 구조’ 부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예상 결과는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