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류 열풍이 중국 여대생의 메이크업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 것으로, 한국 드라마에 대한 호감도와 한류스타에 대한 호감도가 한국 화장품 이미지에 대한 어떤...
본 연구는 한류 열풍이 중국 여대생의 메이크업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 것으로, 한국 드라마에 대한 호감도와 한류스타에 대한 호감도가 한국 화장품 이미지에 대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 메이크업에 대한 모방행동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2월 1일부터 2014년 2월 14일 까지 14일 간 한국 드라마를 본 적이 있는 중국 여대생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검증, 요인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여대생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는 색조 메이크업을 할수록 한국 화장품의 이미지를 좋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화장품 지출액과 기초 메이크업, 색조 메이크업에 따른 한국메이크업 모방행동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월평균 화장품 지출액은 150위엔 이상, 50-100위엔 미만, 100-150위엔 미만, 50위엔 미만 순으로 한국메이크업 모방행동이 높았으며, 기초 메이크업과 색조 메이크업을 할수록 한국 메이크업을 모방하는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중국 여대생은 월평균 화장품 지출액과 기초 메이크업, 색조 메이크업을 하는 한류스타 메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모방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월평균 화장품 지출액은 150위엔 이상, 50-100위엔 미만, 100-150위엔 미만, 50위엔 미만 순으로 월평균 화장품 지출액이 150위엔 이상인 응답자의 한류 스타의 메이크업 방법을 모방하는 행동이 가장 높았으며, 기초 메이크업과 색조 메이크업을 할수록 한류스타의 메이크업 방법 모방행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조 메이크업을 할수록 한류스타의 메이크업 유행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드라마 호감도와 한류스타 호감도가 한국 화장품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한국드라마 호감도, 한류스타 호감도와 한국 화장품 이미지, 한국메이크업에 대한 모방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한국 화장품 이미지는 한국드라마 호감도, 한류스타 호감도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한국 메이크업 모방행동은 한국 드라마 호감도, 한류스타 호감도와 정의 상관이 있었다.
한류스타 메이크업 유행 선호도는 한국드라마 호감도, 한류스타 호감도와 정의 상관이 있었다.
한국드라마 호감도와 한류스타 호감도가 한국 화장품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류스타 호감도, 한국드라마 호감도 순으로 한국 화장품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류스타 호감도와 한국드라마 호감도가 높을수록 한국화장품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드라마 호감도와 한류스타 호감도가 한국 메이크업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한국드라마 호감도와 한류스타 호감도가 한국 메이크업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류스타 호감도만 한국메이크업 모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류스타 호감도가 높을수록 한국메이크업에 대한 모방행동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드라마 호감도와 한류스타 호감도가 한류스타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모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류스타 호감도, 한류드라마 호감도 순으로 한류스타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모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류스타 호감도와 한류드라마 호감도가 높을수록 한류스타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모방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드라마 호감도와 한류스타 호감도가 한류스타 메이크업 유행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류스타 호감도만 한류스타 메이크업 유행 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류스타 호감도가 높을수록 한류스타 메이크업에 따른 유행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류 스타에 대한 모방행동, 스타 마케팅과 화장품 이미지의 연관성을 밝히고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나 본 연구의 대상이 중국 여대생으로 국한되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의 주축이 되고 있는 중국의 중년 여성들도 포함하는 등 보다 폭넓은 연령대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