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재 구성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With the increasing deman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aught especially to foreigners, research on effective education has made muc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gress, and has been carried out in many fields up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

With the increasing deman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aught especially to foreigners, research on effective education has made muc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gress, and has been carried out in many fields up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to help learners engage in writing activities that require various strategies going through the most complex and comprehensive cognitive process amo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reas in foreign learners who learn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effectively. In most fields where Korean language is taught, writing has been neglected. In fact, in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limited because writing is presented in the form of controlled and induced writing or task, academic achievement was at the lowest level in learners who reached their intermediate level going beyond elementary level compared to three areas, and for such reasons, writing was the most difficult and highest area of learning demand. In line with the demands of learners, this study proposed method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to help them engage in writing activities as effectively as possible.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which is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al theory paradigm, is selected as the theory that would be the basis for developing writing textbook going through the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and the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complements textuality, which is the limitation to the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based on the social and cognitive constructivism-based process -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The first goal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acquiring formal and content schema rather than particular genre of writings and learning situational contexts and cultural contexts underlying each schema when they are involved in writing activities with Korean language. By practicing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foreigners reach effective communication in Korean.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genres that intermediate learners can learn from the good points of such a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and considered formal and content schema of letter, , travel , and explanation. After considering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we focused on the configuration of teaching materials centering on the task-based syllabus and the situational syllabus as syllabi for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In this study, we analyzed two already-published teaching materials: <One-month Korean Writing IntermediateⅠ> by Yonsei Univ. Press and <Easy Korean Writing Intermediate 1> by Pusan Univ. of Foreign Studie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Center for an effective configuration of writing materials and analyz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the above teaching materials. We synthesized such foundational theories and analysis results of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focused on the stage of "scaffolding" among the educational model stages of the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al theory, and presented the teaching materials-organizing principles aiming at learning one genre in each unit. The flow of unit was presented in the order of letter, , travel , and explanation, and the principle of unit organization was set as 'learning in the order from the genre that requires familiar context to the genre that requires more complex and social context.' Based on such principles of unit arrangement, examples of actual units are presented by gen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ssifies the genres suitable for the "scaffolding" part of the proposed materials and the intermediate learners and exemplifies the actual units based on the formal and content schema by genre to configure the teaching materials so that learners can learn about genre. However, this study still has limitations in that the teaching material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not used in actual teaching fields and the improvement degree of writing ability in learners is not verified after using these materials. Thu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mpleted to verify to some extent foreign learners' writing ability has been improved by using these teaching materials in actual classes.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그 수요의 증가와 함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연구 역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고 지금까지 다방면에 걸쳐서 연구가 지속되고 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그 수요의 증가와 함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연구 역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고 지금까지 다방면에 걸쳐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급 수준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영역 중 가장 복잡하고 종합적인 인지과정을 거치며 다양한 전략을 요하는 활동인 쓰기활동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한 교재 개발 구성에 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한국어 교수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쓰기 영역은 소홀히 여겨진 것이 사실이다. 통제되고 유도된 글쓰기나 과제의 형태로만 제시되는 제한적인 쓰기 활동은 초급을 지나 중급 수준에 도달한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다른 세 영역에 비하여 학습 성취도가 가장 낮았으며 이러한 이유로 가장 어렵고 학습 수요가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수요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쓰기 학습을 돕는 교재 개발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해 근간이 될 이론으로 결과 중심 쓰기 교육 이론과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을 거쳐 현재의 쓰기 교육 이론 패러다임인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을 선택하였다.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은, 사회·인지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의 한계점인 텍스트성을 다시금 보완한 이론이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통한 쓰기 활동을 할 때 특정 장르의 글이 지닌 형식적, 내용적 스키마를 습득하고 각 스키마의 근간에 있는 상황맥락과 문화맥락을 학습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의 첫째 목적인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의 장점을 바탕으로 하여 중급 수준의 학습자들이 학습할 수 있는 장르를 분류하였고 편지글, 감상문, 기행문, 설명문의 형식적, 내용적 스키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의 고찰 후 외국어 교수법을 바탕으로 한 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으로 과제 기반 교수요목과 상황 교수요목을 중점으로 한 교재 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효과적인 쓰기 교재 구성을 위해 기 출판된 <한달완성 한국어쓰기 중급Ⅰ> 연세대학교 출판부, <쉽게 배우는 한국어 작문 중급1>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 이상의 2권의 교재를 분석하여 각각의 교재가 가진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근간 이론과 기존 교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의 교육 모형 단계 중 ‘비계 설정’의 단계에 주목하였고 각 단원별로 하나의 장르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 교재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단원의 흐름은 편지글, 감상문, 기행문, 설명문 순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친숙한 맥락에서 좀 더 복잡하고 사회적인 맥락을 요하는 장르의 순으로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단원 구성의 원리로 삼고 단원을 배열하였다. 이러한 단원 배열의 원리를 바탕으로 각각의 장르별로 실제 단원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교재의 “비계 설정”부분과 중급 수준에 맞는 장르의 분류와 각 장르별로 형태적, 내용적 스키마를 바탕으로 한 실제 단원을 예시하여 학습자들이 실제적으로 하나의 장르를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재를 구성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본 연구가 제시한 교재가 실제 교수 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아 학습자들이 본 교재를 사용한 후 쓰기 능력의 향상 정도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지적하며 이후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교재를 실제 수업에서 사용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 되었는지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본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