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xecuted and analyzed the needs survey for th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for investigating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by majority field. This aimed to investigate if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
This executed and analyzed the needs survey for th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for investigating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by majority field. This aimed to investigate if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which has been currently provided was effective for learners. The other purpose was to identify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
This was implemented as explained below. Section 1 identified the purposes of research, presented the subjects of resaerch and methodology and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es. Section 2 investigated the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theoretic background of needs analysis. Section 3 presented the survey method and analysis results.
Research fields, sample design, analysis method, preparation of questionnaire and SPSS statistical analysis were applied and presented in detail. The survey analysis was divided into learning goals, class satisfaction, textbooks, assessment, special programs and the improvement approach. Finally, the proposal was presented. Section 4 explained the interview methodology and analysis results. The methodology described research field, sample design, analysis method, preparation of interview questions, and coding process of grounded theory.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learning goals, class satisfaction, textbook, assessment, special program and approach to improve. Next, the category of each field and the theme identified from the interview were presented. Section 5 presented the conclusion and exmained the meaning and problems of this .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specified below.
The satisfaction on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was related to the majority fields of learners. 'Expertise, qualification and teaching method of faculty member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mong the learners majoring in social studies and the lowest satisfaction among the learner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satisfaction had the impact on the class satisfaction. For the textbook by major, the learners majoring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needs. The needs on the special programs were the lowest among the learners majorin g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Next is the opinions on the effective approach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for the learners and teachers by major. The learners selected the proposal of detailed learning goals by major, textbook by major, selection of themes related to majors, and feedback by assessment. The teachers selected the presentation of detailed learning goals by major, language class related to major and language teachers who could lead the major subjects.
For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Korean for academic purpose need to be the curriculum which learners can take during their period of attendance in a college, not the course to take once before or after admission or for one semester.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Korean proficiency for academic purpose from the planning stage of curriculum and to open the program suitable for the features by major.
This was the most significant as the basic needs survey for enabling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to be implemented by major. This compared and proposed the opinions of learners and teachers on the curriculum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b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이 연구는 전공 계열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
이 연구는 전공 계열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지 조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내용 중심 언어 교수에 기반을 둔 한국 실정에 맞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찾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1장은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과 방법을 제시한 후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언어와 교육과정, 내용 중심 언어 교수법, 요구 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은 설문 조사에 대한 조사 방법과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연구 영역, 표본 설계, 분석 방법, 설문 문항의 작성, SPSS 통계 분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분석 결과는 학습 목표, 수업 만족도, 교재, 평가, 특별 프로그램, 개선 방향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마지막에 제언을 하였다. 4장은 심층 면접에 대한 조사 방법과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연구 영역, 표본 설계, 분석 방법, 심층 면접 문항 작성, 근거 이론의 코딩 과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분석 결과는 학습 목표, 수업 만족도, 교재, 평가, 특별 프로그램, 개선 방향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각 영역의 범주와 심층 면접에서 도출된 주제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고 논문의 의의 및 문제점 등을 짚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만족도는 학습자들의 전공 계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수진의 전문성‧자질‧교수방법’이 사회 계열 학습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이공 계열 학습자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이 만족도는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전공 계열별 교재 사용은 예체능 계열 학습자의 요구가 가장 높았다. 특별 프로그램 개설에 대한 요구는 예체능 계열 학습자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둘째, 전공별 학습자와 교수자들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의 견해는 전공 계열별로 구체적인 학습 목표 제시, 계열별 교재 사용, 전공과 관련이 있는 발표 주제 선정, 평가의 피드백이다. 교수자들의 견해는 전공 계열별 구체적인 학습 목표 제시와, 전공별 학과와 연계하여 어학 수업과 전공 수업을 함께 하는 병존 언어 교수를 제안하였다.
셋째,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한 학기나 입학 전․후 한 번의 이수로 그칠 것이 아니라 대학교 재학 기간 전반에 걸쳐 수강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또한 전공 계열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단계에서부터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전공 계열별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요구 조사를 한 점이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설문 조사와 심층 면접을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견해를 비교하고 제언을 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