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급과 고급 수준의 학습자들을 소모둠과 짝 활동으로 나누어 동료 피드백 활동을 하였다. 먼저 동료 피드백에 대한 ...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급과 고급 수준의 학습자들을 소모둠과 짝 활동으로 나누어 동료 피드백 활동을 하였다. 먼저 동료 피드백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학습자들을 위해 동료 피드백 선행교육을 하였고, 1차시부터 4차시에 걸쳐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쓰기 전 활동, 초고쓰기 그리고 동료 피드백 활동 후 수정본 쓰기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수준과 동료의 수에 따른 동료 피드백의 효과를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첫째, 초고에 제공된 동료 피드백의 유형을 의미에 관한 피드백과 형식에 관한 피드백으로 나누어 비교 · 분석하였다. 둘째, 수정본에서 동료 피드백의 수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료 피드백이 수정본의 점수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고에 제공된 동료 피드백의 유형을 의미(내용 및 과제수행, 글의 전개구조)에 관한 피드백과 형식(언어 사용, 사회언어학적 기능)에 관한 피드백으로 나누었을 때 중급과 고급, 소모둠과 짝 활동 모두에서 형식에 관한 피드백을 많이 제공하였다. 그리고 의미에 관한 피드백을 소모둠과 짝 활동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더니 소모둠은 39%, 짝 활동은 20%의 의미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즉, 중급과 고급의 소모둠 활동에서 짝 활동에 비해 의미에 관한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는데, 이 의미에 관한 피드백이 추후에 수정본의 점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수정본에서 동료 피드백의 수용 양상을 수용, 거부 · 삭제, 자가 수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더니 전체적으로 언어 사용 영역의 피드백을 가장 많이 수용하였다. 형식 영역의 피드백은 쉽게 수정할 수 있어 모든 차시에서 수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미 영역의 피드백은 글의 전체적인 내용이나 구성을 수정하여야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몰라 수용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소모둠 활동과 짝 활동을 비교해 보면, 소모둠 활동에서 의미 영역 피드백의 수용률이 각 차시마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료의 수에 따라 분류한 소모둠 활동과 짝 활동에서의 초고와 수정본 간의 점수 향상도를 분석한 결과, 3차시까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차시에서는 글의 전개구조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소모둠과 짝 활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학습자 수준에 따른 중급과 고급에서의 초고와 수정본 간의 점수 향상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중급과 고급 모두 수정본 점수가 초고 점수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동료 피드백 활동은 중급과 고급 수준 모두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모둠 구성에서는 짝 활동보다는 소모둠 활동으로 동료 피드백을 하였을 때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