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이주민의 다문화 정책과 관련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운영 체계와 내용 체계를 알아보고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에는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
이 논문에서는 이주민의 다문화 정책과 관련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운영 체계와 내용 체계를 알아보고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에는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유학생, 중국동포 등 다양한 유형의 이주민이 거주하며 목적 또한 다양하다. 그러나 사회통합프로그램은 이주민의 다양한 목적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내용을 적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주민의 다양성을 고려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다문화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 그리고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캐슬즈와 밀러의 구분에 따라 이주자 사회통합의 유형을 동화주의 모형, 다문화 주의 모형, 차별적 배제주의 모형으로 분류하여 기술하고 각 유형의 이주자 사회통합정책을 추진한 대표적 사례를 제시했다.
2장에서는 이미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해외의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 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일본의 사회통합정책을 살펴 보았다. 네덜란드는 다문화주의에서 동화주의로 2000년대 이후 다시 두 모형의 병용과 수렴으로, 다변화된 이주자 통합정책을 시행해 온 국가이며 프랑스와 독일의 경우는 오랫동안 단일 국가 정체성을 형성해온 국가이면서 동시에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를 일찍부터 경험한 국가들이다. 이들의 사례를 통해 한국의 가까운 미래에 대한 전망과 함께 사회통합 정책의 방향을 찾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분석해 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운영 체계 및 내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2014년 새롭게 변화된 다문화정책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이 연구의 핵심인 서울 제2 거점지역의 사회통합프로그램 거점기관 운영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지 조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지조사를 통해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운영과 내용에 대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에 따른 혜택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필요성, 단계 설정 방법, 사전 평가 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이나 교육 환경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은 이주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교육받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참여자의 요구에 맞추어 결혼이주자, 이주노동자, 중국동포 등의 이주 목적에 따른 다양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새롭게 변화된 다문화정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5장은 결론으로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한국어교육과 한국사회의 이해 교육, 사회통합프로그램운영 등에 대한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