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한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부부갈등과 관련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먼저 살펴보고,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결혼과정 변인, 의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한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부부갈등과 관련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먼저 살펴보고,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결혼과정 변인, 의사소통, 가사노동분담에 따른 부부갈등의 차이 및 부부갈등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한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분석에서 총 237부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Duncan 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한족 이주여성과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은 평균 2.27점으로 나타나 중간 점수에 못 미치나 부부갈등의 정도는 한국인 부부의 갈등보다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다. 부부갈등의 하위 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중국한족 이주여성은 한국인 남성과 결혼과정에서 대부분 결혼한 배우자를 잘 알고 지냈고 사랑하기 때문에 결혼했다고 응답하고 있다. 의사소통은 3.72점으로 중국한족 이주여성과 남편의 의사소통이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분담은 3.13점으로 비교적 가사노동분담이 중간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에 따른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부갈등은 자녀수, 혼인형태, 주관적 경제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결혼과정 변인에 따른 부부갈등은 결혼이유, 결혼 전 정보일치여부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소통에 따른 부부가등의 차이를 보면 의사소통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가사노동분담에 따른 부부갈등은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 않았다.
셋째,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결혼과정 변인 중 결혼이유와 결혼 전 정보일치여부, 의사소통, 가사노동분담이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부부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결과적으로 중국한족 이주여성부부의 부부갈등에 대한 영향력은 의사소통, 결혼과정(결혼이유, 결혼 전 정보일치여부) 변인과 가사노동분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많은 결혼이민자들의 경우 배우자에 대한 정보를 잘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제한적인 정보만 가지고 결혼을 하고 그 때문에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실 결혼 전 정보의 일치도가 매우 중요하다. 중국한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남편에 대한 결혼 전 정보의 일치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최근 중국여성들이 관광, 취직, 유학 등 다양한 경로로 한국에 오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한국인 남성과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고 자유연애를 통해 서로에 대한 정보를 잘 아는 상태에서 결혼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이는 과거에 비해 결혼중개업체가 아닌, 자유의지로 결혼하는 비율이 증가하면서 결혼안정성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 본 연구결과, 이렇듯 긍정적인 결혼과정은 부부갈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부의 의사소통이 부부갈등에 제일 큰 영향을 미쳤다. 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 의사소통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도적 장치와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가사노동분담의 정도도 부부갈등에 의미 있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중국한족 이주여성이 가진 한족특유의 남녀평등 문화에 대해 한국인 남편 및 그 가족들이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 교육을 통해 가족 간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고, 남편과 그 가족들은 한족이주여성을 이해하고, 한족이주여성은 한국 사회와 시댁에 더 잘 적응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부부갈등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전문상담 혹은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중국한족 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의 요인들을 고려한 가족교육, 부부상담 등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가족문제의 사전예방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