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언어사용자의 받아쓰기에 나타난 음운 특성 : 여성 결혼 이주민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이중언어사용자의 쓰기에 나타난 음운 오류 특성을 알아보고자하는 것으로, 겹받침을 이용한 받아쓰기를 통하여 ‘겹받침/모음’, ‘겹받침/자음’ 환경에서 나타나는 음운 표...

본 연구는 이중언어사용자의 쓰기에 나타난 음운 오류 특성을 알아보고자하는 것으로, 겹받침을 이용한 받아쓰기를 통하여 ‘겹받침/모음’, ‘겹받침/자음’ 환경에서 나타나는 음운 표기 오류 종류와 빈도의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인과 결혼하여 한국으로 이주한 후 최소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 이주민들로,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3~4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이며 이중언어강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자들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겹받침이 포함된 문장을 받아쓰기를 한 결과 약 25% 정도의 오답률이 나타내었다.
둘째, 겹받침이 포함된 받아쓰기에서 오류의 발생 정도를 보면 생략>소리대로 표기>대치>중복 오류>위치혼동 순으로 발생하며 정확히 분류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오류도 발생하였다.
셋째, 반드시 사용 빈도와 오류율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오류가 적게 나타났다.
넷째, 분류가 어려운 특이한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쓰기에 집중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보였다.
다섯째, ‘겹받침/모음’, ‘겹받침/자음’의 환경에서 음운 표기 오류의 빈도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겹받침/모음’의 환경에서 ‘겹받침/자음’보다 오류가 적게 나타났다.
여섯째, 생략, 대치, 위치 혼동, 기타 분류하기 힘든 답변에서는 ‘겹받침/자음’의 오류가 월등히 높은 반면, 소리대로 표기, 겹받침을 대치 한 후 뒤에 오는 모음을 소리대로 표기한 중복 오류는 ‘겹받침/모음’의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겹받침이라는 어려운 구조와 받아쓰기라는 환경만을 연구하여 전체적인 오류를 알아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른 환경에서 나타나는 쓰기 오류에 대해 연구와 다양한 음소에서 나타나는 쓰기 오류를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받아쓰기 교육이 이중언어사용자들의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phonemes shown in the writing of bilinguals; thus, the study analyzed the error types and frequency of errors in indicating phonemes shown in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and ‘final...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phonemes shown in the writing of bilinguals; thus, the study analyzed the error types and frequency of errors in indicating phonemes shown in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and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environments through dictation using final double consona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resided at least over one year in Korea since they immigrated to Korea through marriage with Koreans and are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3~4 levels of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have participated in the bilingual lecturer cultivation cours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aking dictation of sentences including final double consonants, about 25% of the incorrect answer ratio appeared.
Second, in looking into the level of the occurrence of errors in dictation including final double consonants, errors occurred in the order of omitting>indicating according to sound>substituting>error of redundancy>confusion in placement. Also, a specific type of error which cannot be accurately classified appeared.
Third,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error ratio,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e was, the smaller the error was in most cases.
Fourth, there appeared a lot of specific errors which are not easily classified. There appeared to be a phenomenon caused by concentrating on writing without considering a context.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rrors in indicating phonemes in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and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environments. Then, in general, errors appeared less in the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environment than in the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environment.
Sixth, in some answers in which omitting, substituting, and confusion in placement appeared and/or which were not easily classified, the error of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was remarkably high. Meanwhile, indicating according to sound and an error of redundancy which indicates vowels which are placed behind according to sound after substituting final double consonants were higher in the case of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discovering all types of errors since it researched only a difficult structure of final double consonants and an environment of dic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to errors found in a different environment and to find out errors in writing, which appear in diverse phonem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iscover any effect of consistent dictation education on the learning of Korean language by bilingual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