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결혼이민자의 자유 구어 담화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유 구어 담화 분석을 통하여 언어학적 면과 언어 사용적면에서 이들의 한국어 사용 양상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유 구어 담화 분석을 통하여 언어학적 면과 언어 사용적면에서 이들의 한국어 사용 양상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언급하고 25명의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료 수집과 연구 방법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담화와 담화 분석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언어 구조적 특성과, 언어 사용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언어를 총체적으로 살필 것임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에서 나타나는 언어 구조적 특징을 음운적, 어휘적, 형태·통사적, 문장 연결, 문장 종결의 특성으로 세분하여 이들의 한국어 문법적 지식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언어의 형식 요소들이 실제 담화에서 수행되는 방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 표현과 공손 표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의의와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언어 구조적, 언어 사용적 한국어 사용 양상은 각 구성 요소를 매우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 형태소 활용이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어 한국어 형태소 활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법 형태소 활용의 어려움은 곧 한국어 문장의 의미의 완결성을 나타내는 서술어의 사용 미숙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문장 구성에 있어서도 조사를 누락시키거나, 적절한 어미를 사용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몇 개의 어미만을 사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의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율적인 대화를 이끌 수 있는 반복 표현과 공손 표현에서도 담화의 상호작용성을 도모하기보다는 자신의 발화를 지속하기 위한 발화 층위에서 반복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어 담화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공손표현 사용에서도 역시 초급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단순한 형태의 어휘적 공손표현을 선호하며, 단편적인 공손 기능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어 언어 사용 측면에서도 미숙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였으며,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는 초급 여성 결혼이민자의 실제적인 한국어 사용 양상을 연구함으로써 이들이 한국어 문장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문법 지식을 활용하는지, 화용적으로 한국어를 어떻게 사용하여 대화하는지를 밝혀냈다. 그리고 이러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다 더 실제적이고, 적합한 교육 과정 마련과 교재 개발의 기초 연구가 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by the female marriage-immigrants with elementary Korean-language ability in the linguistic and linguistic usage aspects, by analyzing their free colloquial discourse. This research is orga...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by the female marriage-immigrants with elementary Korean-language ability in the linguistic and linguistic usage aspects, by analyzing their free colloquial discourse. This research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the data collected from 25 female marriage-immigrants, and the research methods are discussed. In Chapter 2, discourse,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and theories on its analysis are described, and the linguistic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usage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examined. In Chapter 3, the linguistic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ree colloquial discourse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subdivided into phonological, lexical, and morphological/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nection and ending of sentences, and the aspects of their Korean grammatical knowledge usage are analyzed. In Chapter 4, to examine the method by which the linguistic formal elements are performed in actual discourse, the subjects’ repetitive expressions and polite expressions a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Chapter 5,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is presented, and its implications and the research limitations are discussed.
The use of the linguistic structural and linguistic usage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by the female marriage-immigrants with elementary level Korean-language ability was found to be very limited. This finding is summarized below.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grammatical morphemes were used much less than they are by native Korean-language speakers, and female marriage-immigrants were having difficulties in using the Korean grammatical morphemes. The difficulties in the use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were found to be connected to the unfamiliarity with the use of predicates that complete the meaning of a Korean sentence.
Secondly, it was found that in the composition of a Korean sentence, the female marriage-immigrants omitted postpositions or failed to use appropriate endings, and used only a few fragmentary endings, which posed a hindrance to their communication.
Thirdly, as for the repetitive expressions and polite expressions that make dialogue efficient, the female marriage-immigrants used many repetitions at the speaking level to continue speaking instead of making discourse interactions. Also, in the use of polite expressions that have special meanings in Korean-language discourse,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elementary Korean-language ability were found to prefer simple forms of lexical polite expressions and to use fragmentary polite functions. In other words, they were found to be immature in their use of the Korean languag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this research established how female marriage-immigrants with elementary level Korean-language ability use their grammatical knowledge to compose a Korean sentence and how pragmatically they speak using the Korean language, by studying the aspects of their use of practical Korean language. Second, more practical and appropriate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can be produced based on empirical research such as thi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