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South Korea is a singular cultural society, however, today the social paradigm has been changed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general class teachers' recognitions toward deaf cul...

South Korea is a singular cultural society, however, today the social paradigm has been changed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general class teachers' recognitions toward deaf 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general class teachers were teach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studying at the special class. 400 special class teachers and 400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ith recognition to deaf cultural education and bicultur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ign language and native languag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 to deaf students and multicultural students,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deaf students and bilingual speakers, and awarenes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study consists of the recognition of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and non-deaf bilingual people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cognition of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and non-deaf bilingual people i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awareness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 foun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were more highly aware of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than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non-deaf bilingual people. In contras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highly aware of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non-deaf bilingual people than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awareness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non-deaf bilingual people, the importance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 to non-deaf bilingual students.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lso recognized the adequacy of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the necessity of s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 to deaf students.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sign language as the language that the deaf students used to communicate, but they did not regard that the deaf students were using two languages and in part of two cultures. Additionally,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positive to the use of sign language for the deaf students, bu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negative to the use of native language rather than Korean for the non-deaf bilingual students.
In sum, for the development of deaf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lter perception about deaf culture, from deafness as a disability to culture. Additionally, mor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promote this perceptional change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a bilingual-bicultural approach.

이 연구는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원적학급 교사인식을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농문화교육과 ...

이 연구는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농문화교육은 농교육, 농문화, 모국어(수화), 교육적지원 요인으로 구성되어있고,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교육, 다문화, 모국어, 교육적지원 요인으로 구성되어 총 8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이 설문지는 농학생이 재학 중인 통합교육 환경의 초, 중,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421명과 원적학급 교사 421명에게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각각 400부(95.0%)를 회수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결과는 첫째, 특수학급 교사는 다문화교육보다 농문화교육에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농문화와 관련한 내용에서 교사들은 청각장애학생들의 문화에 관한 내용들이 일반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과 같이 포함되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며, 청각장애인들에게 이들의 문화를 가르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청각장애학생의 지도를 위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화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중문화․이중언어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반면 다문화교육 전반에 있어서 농문화교육 보다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으나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문화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둘째, 원적학급 교사는 농문화교육보다 다문화교육에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청각장애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학교에서 교육을 실시하지만 다문화가정의 학생은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다른 문화라는 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청각장애학생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동일 문화의 집단이나 장애인으로써 수화의 사용을 수용하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농문화교육은 특수학급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은 원적학급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특수학급 교사는 다문화교육 요인에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모국어교육의 필요성, 다문화 교육적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에 긍정적이고, 원적학급 교사는 농문화 형성의 타당성과 수화수업의 타당성, 수화교육 지원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많은 청각장애학생들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하에 통합되어 있고 구화중심의 교육을 강요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청각장애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중문화․이중언어 접근이론에 따라 농문화를 장애인 문화에서 벗어나 하나의 문화로 인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