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미얀마어 "나다"의 연어표현 대조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나다”와 결합된 (체언/용언)형의 연어표현 대조연구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미얀마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려고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

본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나다”와 결합된 (체언/용언)형의 연어표현 대조연구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미얀마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려고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서 대조연구를 하였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의 2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나다”와 결합된 연어 목록을 추출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미얀마어권 학습자들이 “나다”와 결합된 연어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목록을 선정할 때에는 기존의 연구 및 빈도를 고려해서 결정하였다. 선정된 목록을 초급, 중급, 고급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습자 수준은 한국어 능력시험 수준으로 구별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미얀마 국내 양곤 외국어 대학교, 만데레이 외국어 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초급(20)명, 중급 (20)명과 한국에 유학 와있는 고급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한 결과를 보면 연어형식이 비슷하고 의미가 일치한 표현들은 학습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반면에 의미나 연어형식의 차이가 많을 때에는 정답 응답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급, 중급뿐 만아니라 고급 수준 학습자들도 오류를 많이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지만 결합된 상태, 즉 연어표현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 한 것으로 조사결과가 보여 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제 3장에서 우선 한국어의 연어 개념 및 유형과 미얀마어의 어휘 구성 및 유형 등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다음 한국과 미얀마 양국가간의 연어를 대조하기 위해 대조분석 기준을 정하고 “나다”의 단일어휘 사전적 의미를 대조하였다. 그 결과 양국가간 의미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어의 “나다”는 결합형태, 즉 연어로 많이 사용되는 반면 미얀마어에서는 단일어휘로만 많이 사용하고 결합관계는 거의 사용하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 다음 4장에서는 연어 형식적 측면에서 대조와 의미적 대조를 하였다. 연어 형식적 측면 대조할 때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형태가 비슷한 형태, 즉 “체언 / 용언”형태, 두 번째는 한국어에서는 “체언 / 용언”이지만 미얀마어에서는 단일어휘로만 사용하는 형태이다. 세 번째는 한국에서는 “나다”의 연어 형태로 사용하지만 미얀마어에서는 그와 대응할 수 있는 단어가 없어서 설명이나 뜻을 가진 다른 어휘로 써서 표현하는 형태, 즉 불일치 형태로 나누어서 대조하였다. 연어 형식적 측면에서 대조 해본 결과 비교적 비슷한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사가 생략한다는 점이 제일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어서 의미적 측면에서 대조할 때에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대조 하였다. 첫 번째는 한국어의 체언, 용언의 의미가 미얀마어와 일치하는 유형, 두 번째는 한국어의 체언과 미얀마어의 체언은 일치하나 용언이 다르게 표현하는 유형, 세 번째는 의미가 전혀 불일치하는 유형이다. 한국어의 “나다”와 결합된 연어의 의미가 미얀마어와 대응 될 수 있는 유형이 전체 63개의 어휘 중 7개 밖에 없었다. 의미적인 측면에서 대조해 본 결과를 보면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차이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큰 차이로 인해 미얀마어권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하여 많은 오류를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나다”와 결합된 연어에 대해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미얀마학습자들을 위해서 어휘 교수-학습이나 교재 편찬 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and Myanmar “Nada" collocations (noun / verb) expressions and in this way help Myanmar learners to achieve more effective results while learning Korean Language.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procedu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and Myanmar “Nada" collocations (noun / verb) expressions and in this way help Myanmar learners to achieve
more effective results while learning Korean Language.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procedure was conducted.
First of all, the survey of how well Myanmar learners can recognize sixty three of the “Nada” collocations (noun / verb) expressions has been done. By studying previous studies and frequency of the vocabulary, determined the list of sixty three vocabularies was selected to survey and divided the list as beginner level, intermediate level and advanced level. The level of learners was distinguished by the Test of Korean Proficiency (TOPIK). The survey was
completed fifty students who were the twenty students from the Yangon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and twenty students from the Mandala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and ten advanced students in Korea.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were able to identify the similar format and similar meaning of the collocations however they could not identify if the format and meaning of the collocation were different from Myanmar Language.
Moreover, not only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students but also the advanced students showed a lot of errors. According the survey result, the learners can
grasp the meaning of a word, but the combined state as the expression of collocations is not recogniz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Chapter 3, we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concepts and type of colloc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And then, we decided the contrast analysis criteria to
contrast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single word “Nada” of both Korean and Myanmar Language were contrasted.
As the result, the meaning of “Nada” single word between Korean and Myanmar Language was similar. However, in Korean "Nada" was widely used by collocations but in Myanmar can found usually in single word form.
Then, in Chapter 4, the contrast of the collocation formal aspect and the semantic contrast were done. To contrast formal aspect of the collocation, three
types such as “Noun / Verb” similar form in both Korean and Myanmar Language, the second type is the only one word form in Myanmar Language and the last type is the different form in both Languag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trast of collocation formal aspect, most of the word forms were relatively similar. Omission of the postposition is the most difference.
For semantic contrast, there are also three types such as similar meaning in the both language, the second one is only the noun is similar and the last one is
the different both of noun and verb meaning. As the result of semantic contrast result, among of the sixty three words, only the seven words were similar with
Korean and Myanmar Language. Korean and Myanmar Language were quite a lot of difference in the point of semantic contrast. Due to such a large
difference in Myanmar and Korean Language of “Nada” collocations and the influence of native language, Myanmar learners usually made many errors.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dditional training for "Nada"
collocations is the essential need for Myanmar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in the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for Myanmar students and also to utilize as the
teaching material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