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맞장구 표현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장구 표현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맞장구의 기능을 언어행동과 비언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맞장구 표현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장구 표현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맞장구의 기능을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맞장구 표현을 조사하여 한국어 맞장구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맞장구 표현 교육 연구가 언어행동만 연구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을 함께 살펴보기로 하였다. 2장에서는 맞장구의 특징으로 맞장구의 성격 및 개념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하여 언어적 맞장구 표현의 기능과 비언어적 맞장구 표현의 기능을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언어적 맞장구 표현은 듣고 이해하기, 자신의 감정 표현하기, 호응·동의하기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비언어적 맞장구 표현의 기능은 시선, 표정, 신체, 거리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 맞장구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맞장구 표현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언어행동에는 자신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적 맞장구를 답하게 하였는데, 남성의 경우 ‘예’가 가장 많았으며, 여성의 경우 ‘응’ 또는 ‘네’가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언어적 맞장구의 역할로는 남녀 모두 ‘이야기를 잘 듣고 있다’, ‘대화내용의 관심 표현’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맞장구의 영향은 남녀가 달랐다. 남성은 ‘친근감’의 ‘연령’ 등의 순위였는데 여성의 경우 ‘상대에 대한 배려’, ‘관심주제(흥미로운 주제)’ 순 이였다. 또한 듣고 이해하기, 자신의 감정표현하기, 호응·동의하기를 알아보기 위한 상황들을 제시하여 언어적 맞장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비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 역시 비언어적 맞장구 중 가장 자주 사용하는 행동을 알아 본 결과 남녀 모두 ‘고개를 끄덕임’, ‘미소’ 순 이였다. 비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의 역할 또한 언어행동의 맞장구와 같이 ‘대화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 ‘대화내용에 대한 관심의 표현’으로 남녀 같은 결과가 나왔다. 본인의 신체 부위 중 비언어적 맞장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에는 남녀 모두 ‘머리 부분인 목, 고갯짓, 머리를 만지는 행위‘가 가장 많이 나왔다.
비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 역시 상황을 제시하여, 다섯 가지 상황 안에 ‘(1) 시선, (2) 표정, (3) 신체, (4) 거리’로 다시 나누어 알아보았다.
설문의 자료를 통해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맞장구 표현의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의 맞장구표현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현재 각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급단계의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맞장구 표현에 대해 교육이 전혀 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70~90%를 차지하는 비언어행동에 관련된 내용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경희대학교 고급 교재 대화문을 제시하여 한국인이 사용하는 맞장구 표현을 포함하여 대화문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뿐만 아니라 비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을 자세히 묘사하기 위해 교재에 한국인의 맞장구 표현인 제스처를 교재에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한국인의 맞장구 표현을 정확하게 학습하면서 맞장구 표현과 관련 문법을 함께 익히는 학습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은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을 함께 교재에서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설문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 남녀가 사용하는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의 맞장구 표현을 분석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가 보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 교재의 문제점과 교재의 현황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교재에 나타난 맞장구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맞장구치기라는 단원을 삽입하여 그림으로 한국인의 맞장구 표현뿐만 아니라 맞장구의 행동(제스처)까지 학습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backchannel responses in Korean language and to explore methods of the teaching backchannel responses in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we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the b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