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안}·{못} 부정문에 대한 교육 방안이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부정문의 구체적인 용법을 파악하지 못해서 한국어 부정문을 만들 때 종...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안}·{못} 부정문에 대한 교육 방안이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부정문의 구체적인 용법을 파악하지 못해서 한국어 부정문을 만들 때 종종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부정문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어의 부정문 분류를 살펴보았다. 둘째는 장·단형 부정문에 나타나는 의미적 특성을 논술하였다. 셋째는 장·단형 부정문의 통사적 제약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즉, 장형 부정문으로서 ‘-지 않다’와 ‘-지 못하다’, 단형 부정문으로서 ‘안’과 ‘못’ 부정문의 제약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현재 각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쓰고 있는 한국어 교재들에 제시되는 부정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교재는 서울대학교 《한국어 1 2》,《연세 한국어 1》, 《서강 한국어 1A 1B》 그리고 고려대학교 《재미있는 한국어 1 2 3》이다. 각 교재의 부정문에 대한 문법적 제시 방법과 연습 활동의 배열 방식을 정리하고 분석해 보았다. 같은 문법을 다루더러도 각 교재는 설명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부정문에 관한 교육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부정문 항목 배열 순서에 대한 지도안이다. 형용사가 단형 부정문의 형태를 갖출 때 제약을 많이 받은 ‘못’부정보다는 ‘안’부정이 더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가장 기본적인 부정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안’단형 부정문은 제약이 많으므로 쉬운 것부터 교육해야 하는 점에서 장형 부정문을 먼저 제시하는 것이 좋다. 둘째는 사용빈도, 난이도, 일반화 가능성이라는 배열기준에 의해서 부정문을 제시할 때 형태나 의미가 단순한 것부터 복잡한 것으로, 무표적인 것에서 유표적인 것으로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초급 단계 중국인 학습자에게 교육을 할 때 부정문의 형식과 의미부터 제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급 단계로 올라가면서 제시할 필요가 있는 복잡하면서도 다양한 제약에 대한 지도 방안이다. ‘안’과 ‘-지 않다’로 선정해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지도 방안은 ‘도입-전개-연습-정리’의 단계를 적용하였다. 이 방안도 중국인 학습자의 부정문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지도 방안이다.
부정문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항목 배열순서와 제약 분석이 중요하므로 교재에 대한 부정문의 지도방안을 작성할 때도 이점에 주목해야한다. 그리고 앞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부정문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계속해 가고자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