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적 출력 과제 유형 중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성과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적 출력 과제 유형 중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협동적 출력 과제 유형 중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보조사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협동적 출력 과제 유형 중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문법적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협동적 출력 과제에 대해 살펴본 후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에 관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설계하고 참여자와 연구 내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실험은 대전 W대학교에 재학 중인 TOPIK 3급, 4급의 중급 학습자 28명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사를 통해 딕토글로스 집단과 빈칸채워재구성하기 집단을 구성하였다. 목표 문법으로는 보조사를 선정하고 실험에 쓰일 수업 자료를 만들어 3차시에 걸쳐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각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목표 문법인 보조사의 문법 능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객관식으로 된 문법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전체 문법 오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쓰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표본 t-검정, 대응 표본 t-검정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첫째,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은 사후 보조사에 대한 문법 능력 검사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각 활동의 문법 교육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보조사에 대한 문법 능력 검사에서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를 비교해 살펴보면 딕토글로스는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에 비해 문법 능력의 향상도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후 쓰기에서 딕토글로스 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문법 오류 감소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은 사후 쓰기 결과에서 문법 오류 감소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넷째, 딕토글로스는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에 비해 쓰기에 대한 문법 오류 감소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Ⅴ장에서는 Ⅳ장의 실험 결과와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과 더불어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 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협동적 출력 과제 유형 중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 활동을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해 보고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딕토글로스와 빈칸채워재구성하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협동적 출력 과제에 대한 다양한 비교 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activity among collaborative output tasks have any effect on grammatical accurac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is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activity among collaborative output tasks have any effect on grammatical accurac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is study follows;
ChapterⅠwill explain the purpose and need of this study, investigate the previous research and suggest the questions for the study, The questions are first, what effect does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among collaborative output tasks have on learning of sub-particle (bojosa)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econd, what effect does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among collaborative output tasks have on grammatical accurac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Chapter II discusses the collaborative output task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consider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Chapter Ⅲ establishes study methods and states about participants and contents of the study. For this study, 28 learners with TOPIK level 3 and 4 (intermediate), who are students of W University at Daejeon were participa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dictogloss group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group by a homogeneity test.
As a target grammar, sub-particle (bojosa) was selected and 3-session experiment classes were conducted with some instructional materials. After each class, two tests were conducted to vitrific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ities. Firstly, in order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grammar ability of sub-particle (bojosa) which is a target grammar, an objective test for grammar ability was performed.
Secondly, to assess the grammar error rate in writing for the learners, a writing test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e was analyzed by SPSS 19.0 program wit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t-test.
Chapter IV shows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between two groups. First,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higher score at grammar ability for post sub-particle (bojosa), and this suggested each activity's effectiveness of grammar education. Secondly, when comparing dictogloss with reconstruction by filling the blank during the grammar ability test for sub-particle (bojosa), while dictogloss showed more improvement of grammar ability than reconstruction cloze tasks, there was no statistically big difference.
Thirdly, during the post writing test, dictogloss was verified with its effectiveness for reducing grammar erro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while reconstruction cloze tasks showed decrease in grammar errors during the post writing tes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ly, comparing to reconstruction cloze tasks, dictogloss show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ing errors for writing.
Chapter V states the results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chapter IV and analysis and sugges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This study can find its meaning in applying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among collaborative output tasks type on the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done so far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rawing the test results of an effect on grammatical accuracy of the learners.
While this documents mainly about dictogloss and reconstruction cloze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study conducts various comparative analysis for collaborative output tasks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language 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