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동사 연속체 연구 : [V-어 V] 구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에서는 [V-어 V] 구성을 형태-통사적 기준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이제까지는 [V-어 V] 구성을 분류하는 결정적인 기준이 의미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어떤 대상이 단어인지 구인지를 판...

본 논문에서는 [V-어 V] 구성을 형태-통사적 기준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이제까지는 [V-어 V] 구성을 분류하는 결정적인 기준이 의미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어떤 대상이 단어인지 구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형태-통사적 관점으로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단어와 구는 엄연히 형태-통사적 단위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께서 지병으로 돌아 가셨다’의 ‘돌아 가다’는 ‘돌아는 가셨지만’과 같이 중간에 “한정사(delimiters)” ‘-는’의 삽입이 가능하다. ‘돌아 가다’ 중간에 다른 독립적 성분인 한정사를 허용한다는 것은 ‘돌아 가다’가 단어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돌아 가다’가 형태-통사적으로 단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죽다}라는 관용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해서 단어로 분류해 왔다. 결과적으로 의미적 기준을 우선으로 한 [V-어 V] 구성의 분류에서는 단어가 아닌 것을 단어로 보게 되었고 그 결과 동사구와 합성 동사의 구별이 모호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단어와 구의 분류에 있어 의미적 관점을 우선으로 한 기준과 그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형태-통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V-어 V] 동사 연속체를 분류하고자 한다.
형태-통사론적 기준에 의해 구로 분류된 [V-어 V]는 단문 구성을 이루는 “복합 동사 구성”와 복문을 이루는 “접속 동사 구성”으로 나뉜다. 이 중 복합 동사 구성은 의미적 판별기준을 우선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합성 동사와 보조 동사구로 분류 되어 왔으므로 재분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형태-통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V-어 V]를 살펴보고 이를 재분류하고자 한다.
보조 동사의 판별기준도 의미적 기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보조 동사가 논항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단순문 구조설”과 “복합문 구조설”로 대립되어 왔는데, 대립의 근본적인 이유는 보조 동사가 논항을 취할 수 없다는 기준과 의미적으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는 기준의 충돌에 있다. 예를 들어, ‘은희가 은언이에게 책을 읽어 주었다’에서 ‘-어 주다’는 {give}가 아닌 {누구를 위하여 어떤 행위를 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은언이에게’를 논항으로 취한다. 이 때 ‘-어 주다’는 의미적으로는 보조 동사인 것처럼 보이지만 일반 동사처럼 논항을 취한다. 이와 같이 의미적 기준으로는 보조 동사인 것처럼 보이는 동사를 설명하기 위해 복합문 구조설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동사 본래의 기능이 논항을 할당하는 것이므로 논항을 할당하지 못하는 동사는 그 의미와는 상관없이 보조 동사로 봐야 한다.
본 논문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인데, [V-어 V] 구문이 단어인지 구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을 정립하는 것과 [V-어 V] 구문의 동사 중 두 번째 동사가 보조 동사인지 본동사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두 번째 목표와 관련하여서는 '-어 주다', '-어 지다'와 '-어 하다'의 표현들을 자세히 살펴 볼 것이다. 이 논문의 의의는 의미적 기준이 아닌 형태-통사적 기준으로 [V-어 V] 구성을 분류하고 보조 동사의 판별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In Korean, it is often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morpho- syntactic status of an elemen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difficulty comes from the fact that no consensus exists on a reasonable set of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the task. Rat...

In Korean, it is often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morpho- syntactic status of an elemen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difficulty comes from the fact that no consensus exists on a reasonable set of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the task. Rather, linguists seem to have used their own set of criteria without justifying it carefully.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a light on analyzing the morpho-syntactic nature of Korean elements, by critically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proposed by previous studies and providing a new set of criteria for judging the morpho-syntactic status of Korean expressions. In doing so, the primary concern will be given to [V-e V] constructions, the morpho-syntactic nature of which has attracted a number of researchers’ attention.

In unveiling the nature of the [V-e V] expression, the thesis deals with two issues in particular: 1) whether the [V-e V] expression is a word or phrase, and 2) whether the second verb in the [V-e V] expression is an auxiliary verb or a main verb. Especially for the second issue, I will delve into the morpho-syntactic status of cwu-, ci-, and ha- in [-e cwu-], [-e ci-], and [-e ha-] expressions.

The most crucial problem of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two issues of [V-e V] expressions is that they consider semantic criteria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morpho-syntactic criteria in determining the morpho-syntactic status of the expression concerned and its second verb. This point of view has led to not only misunderstandings of the status of the expression but also misanalyses of its syntactic structure.

By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morpho-syntactic criteria, I provide a new classification of the [V-e V] expressions, Also, the second verb of the expression will be analyzed primarily with morpho-syntactic criteria. The range of the applications of the morpho-syntactic criteria provided here is not limited to the [V-e V] expressions, but can and should be extended to other elements in Korean.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