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귀국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mon problems that students coming back to Korea from overseas experience in school adaptation process and factors helping them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return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mon problems that students coming back to Korea from overseas experience in school adaptation process and factors helping them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returnees, their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 A case study was performed through interviews.
School life in Korea of returnees is mixed with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First, although they did not have big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in Korean, they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s and terminologies. Additionally, because of difference in educational methods and courses by nation, they had difficulties to catch up with their classmates and showed fear or avoidance of strange or unfamiliar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returnees had difficulties in making deep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because of delicate difference in way of thinking or language although they didn’t look different from other students. Especially, to many returnees, brutal languages and gestures of Korean students became a big stress. Third, most of returnees experiencing friendly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making friendly relationship with teachers because of their cold and relatively unfriendly teachers in Korea. Fourth, they were acclimative rather than having resistance or bearing sense of refusal and kept school rules better than other students. But they were cynical to school events.
When identifying factors helping them to be adjusted,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t is better to come back earlier before being higher graders. At least coming back to Korea at middle grades was helpful for their adjustment. Second, for compensation and adaptation to subject studies, preparation of retarded Korean courses was needed and individual learning should be paralleled with current learning courses. Third, they need to make active efforts and we need to give them opportunities to compose sympathy with friends. Fourth, classroom teacher of returnees can help students to be adapted to school life by being considerate for them in classes and guidance of life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Fifth, at homes with returnees, parents should listen to and look after returnees.
As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returnees to school life are complicated as reviewed in this study, multi‐faceted efforts are required to help adaptation of returnees.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and supports from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Office and Nation are needed rather than dumping the responsibilities and tasks to returnees themselves and their parents. Additionally, guidance before they go out and continuous supports during their stay should be followed.

연구귀국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 과정에서 겪는 공통점을 파악하고, 귀국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었던 요인들이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고자 일반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재...

연구는 귀국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 과정에서 겪는 공통점을 파악하고, 귀국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었던 요인들이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고자 일반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 중인 6명의 귀국학생과 그들의 학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해외 귀국 초등학생들의 귀국 후 한국에서의 학교생활은 적응의 모습과 부적응의 모습이 혼재되어 있었다. 첫째,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데에는 큰 문제를 겪고 있지 않는 학생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 내용 및 용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나라별 교육 방법의 차이 및 교육과정 수준의 차이로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었으며 생소한 교육활동에 대하여 기피현상이나 두려움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둘째, 귀국 학생들은 일반 한국 학생들과 겉모습은 같으나 사고방식과 언행들의 미묘한 차이로 인하여 깊은 관계로 나아가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많은 귀국학생들은 일반 한국 학생들의 거친 언어생활이나 과격한 몸짓이 큰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셋째, 체류국에서 교사와 친근한 관계를 경험하고 돌아온 귀국 학생들의 대부분은 교사의 다소 무뚝뚝하고 상대적으로 불친절한 모습으로 교사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학교 규칙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거나 거부감을 가지고 있기 보다는 오히려 일반 한국 학생보다 순응적이고 모범적으로 지키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학교 행사에 대하여는 냉소적이었다.
이러한 해외 귀국 초등학생이 직면하고 있는 부적응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움이 되었던 요인을 알아본 결과 첫째, 귀국 시점에 있어서 고학년보다는 최소한 중학년에 귀국하는 것이 적응에 도움이 된다. 둘째, 학업의 보충 및 적응을 위하여 귀국 전 한국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 학습이 필요하며 현 교육과정과 함께 학생 개별 수준에 맞춘 개별학습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교우관계 형성을 위하여 귀국 학생 개개인의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친구들과 공유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귀국학생을 담당하는 담임 교사들이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 시간과 생활 지도에서 배려함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다. 다섯째, 귀국학생을 둔 가정에서는 이들의 어려움에 귀를 기울여주고 적응 과정을 여유있게 봐주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귀국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적응하는데 끼치는 요인들은 복합적이므로 귀국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재와 같이 귀국학생 본인 및 부모에게만 그 책임과 과제를 떠넘기기 보다는 교육청 및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육 및 지원이 필요하다. 아울러 귀국 후는 물론이거니와 출국 전 사전 안내와 체류 중 계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