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을 받는 중국인 학생들이 한국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대화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담화 참여자가 될 수 있을 만한 이해와 표현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을 받는 중국인 학생들이 한국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대화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담화 참여자가 될 수 있을 만한 이해와 표현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국어의 실제 담화를 화행별로 분석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한국어에는 한자어가 많으므로 중국인 학생들이 그러한 한자어를 빨리 습득하는 반면 한국인과 대화를 하는 경우 많은 장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대화 중 사용하는 구어체 단어의 경우 실제적인 사전적 의미보다는 실생활에서만 사용되고 통용되는 뜻들이 많다. 이에 따라 중국인 학생들이 한국어 학습 시 작문(writing)의 경우는 빠르게 실력을 높일 수 있지만 일상적인 자유대화(free talking)의 경우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