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진로대안영역간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의 성격특성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판 아동용 5요인 성격질문지를 타당화하고,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이 진로대안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이 진로대안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성격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 타당화를 위해 278명의 아동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252명의 아동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5, 6학년 460명으로부터 아동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 척도, 직업의 지위에 대한 이미지, 직업의 성역할에 대한 이미지, 직업포부 질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직업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고,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이 진로대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진로대안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의 구인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와 우울, 학업성적, 진로성숙도와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15문항의 간편형 척도와 준거변인들간의 관계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성인이 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직업지위와 직업의 성역할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직업의 지위와 성역할을 바탕으로 직업인지지도를 그려본 결과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진로대안영역의 지위상한, 지위하한, 성역할 경계에 있어서 남녀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지위상한은 남학생이 높았고, 지위하한은 여학생이 높았으며, 수용 가능한 성역할 경계는 남학생이 더 유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은 지위상한, 지위하한, 수용 가능한 직업지위의 범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수용 가능한 성역할 경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지위상한, 지위하한, 수용 가능한 직업지위의 범위, 성역할 경계와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사회경제적 지위와 지위하한과의 관계에서 성실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과 지위상한과의 관계에서는 개방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적과 지위하한과의 관계에서는 외향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적과 수용 가능한 직업지위 범위와의 관계에서는 외향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고정관념과 수용 가능한 성역할 경계와의 관계에서는 성실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관련된 연구분야와 실제 진로지도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 가능한 직업 지위의 범위에서 남학생이 좀 더 폭넓은 직업대안을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초등학교 5~6학년 남학생들은 지위가 높은 직업이나, 낮은 직업을 진로대안에서 제외시키지 않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는 반면 여학생은 지위가 비교적 높거나, 낮은 직업들은 이미 진로대안영역에서 제외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있어 성적이 높거나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게 지각하는 학생들이 진로대안영역의 범위를 지나치게 축소하여 편향된 직업대안을 형성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해 가능한 직업의 범위를 지나치게 축소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 보다 성편견에 의한 진로대안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남학생들에게 직업의 성역할에 대한 유연성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수용 가능한 진로대안영역의 형성과 관련하여 성격특성의 역할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지각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고정관념과 진로대안의 관계에서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이 조절효과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