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확장된 의미 기반 검색을 위한 콘텐츠 관리 요소기술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search, utilization and management for a large amounts of multimedia contents is increasing on internet-based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and techniques that take advantages of meta-data attached to the ...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search, utilization and management for a large amounts of multimedia contents is increasing on internet-based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and techniques that take advantages of meta-data attached to the contents has been generalized. In particular, a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bout meta-data standards for providing semantics of contents, semantic search of wide range for standards-compliant contents is possible. However, while several standards have been announced, problems are faced with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meta-data standards-compliant contents.
In addition, the lack of semantic meta-data about video itself exists on video contents among the management techniques of multimedia contents. And, the limitation of semantic retrieval and of management of music contents appears since the classification of music contents depends only on simple emotional model. In particular, as these studies are not based on Korean, it is even more vulnerable on Korean-based contents management.
In this dissertation, the element technologies of contents management are proposed for the extended semantic search of multimedia contents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Proposed technical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propose technologies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each content marked by the representative meta-data standards MPEG-7 and TV-Anytime. Second, support powerful semantic search through the extension of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metadata of each video/image contents marked by two standards. Using this, particular event of video/image contents and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associated with specific subject can be described and applied. Third, defines ontology to support interoperability and extended semantic search that proposed previously. Fourth, propose an emotion model for the emotional representation of music contents. Proposed model is defined by the extension of an existing simple emotional model. User can use various and natural representations for emotional information through proposed model which has also been defined by Korean vocabulary, It has advantages in processing Korean-based emotional expression. Fifth, define Music Emotional Ontology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of music contents based on proposed model. Semantic relation ontology is a reference model to support the emotional category of content-based meta-data, and it consists of 11 'direct emotion' classes and 6 'indirect emotion' classes.
Finally, design and implement contents-management-system based on the proposa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s follow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ur system and commercial contents-management-services which have higher and more popular utilization. The system through experiments were proposed, qualitativ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conventional systems, query performance for semantic search and natural sensibility expression also very goo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ystem proposed in this , qualitative satisfaction of quality higher than conventional systems and performance of query for semantic search and natural sensitivity expression is better.

현재,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환경에서, 대량으로 유통되는 멀티미디콘텐츠에 대한 검색과 활용, 그리고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콘텐츠에 첨부된 메타데이터...

현재,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환경에서, 대량으로 유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검색과 활용, 그리고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콘텐츠에 첨부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는 기법이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콘텐츠의 특성과 의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표준안을 따르는 폭넓은 의미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러 표준안들이 범람하면서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표준을 따르는 콘텐츠간의 상호운용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사용자는 콘텐츠 관리의 또 다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기술 중에서도 영상 콘텐츠의 경우, 영상 자체에 대한 의미적 메타데이터의 부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음악 콘텐츠의 경우, 단순한 감성 모델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분류와 검색을 하므로 의미적 콘텐츠 검색과 관리에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연구들은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지 않아 한국어 기반의 콘텐츠 관리에 더더욱 취약한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강화된 의미 검색을 지원하는 콘텐츠 관리의 요소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요소 기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대표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인 MPEG-7과 TV-Anytime으로 각각 표기된 콘텐츠들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기법을 제시한다. 둘째, 두 표준으로 각각 표기된 영상, 이미지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들 간에 존재하는 의미 관계를 확장하여 강화된 시맨틱 검색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영상 및 이미지 콘텐츠들 간의 특정한 이벤트, 주제와 관련된 의미적 연관 관계를 기술하고 이를 검색에 적용가능하다. 셋째, 앞서 제시한 상호운용성 및 확장된 의미적 검색을 지원하는 온톨로지를 정의한다. 넷째, 음악 콘텐츠의 감성적 메타데이터 표현을 위한 감성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감성 모델은 기존의 단순한 감성 모델을 기반으로 이를 확장하여 정의되었으며, 이를 통해 감성 정보에 대한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제안 모델은 한국어 어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의되었으므로 감성적인 한글표현에 자연스럽게 적용가능하다. 다섯째, 제안 감성 모델을 기반으로 음악 콘텐츠의 효율적인 분류 및 검색을 위한 감성 온톨로지를 정의한다. 감성 온톨로지는 음악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감성적 분류를 지원하는 참조 모델이며, 감성 표현을 위한 11개의 ‘직접 감성’ 그룹과 6개의 ‘간접 감성’ 그룹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제안 내용을 기반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이를 사용자 이용률이 높고, 감성 정보를 이용한 음악 콘텐츠의 검색이 가능한 웹 기반의 상용 콘텐츠 관리 서비스와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성능 평가는 기존 시스템과 제안 시스템에 질의 결과에 대한 피 실험자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수행한다. 피 실험자는 일반인 그룹과 음악 애호가 그룹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질의 결과 반환된 음악 리스트의 상위 랭킹 콘텐츠의 개수를 달리하면서 만족도 평가를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보다 질의에 대한 정성적인 만족도가 높으며, 자연스러운 감성적 표현과 의미적 검색에 대한 질의 성능도 우수함을 보인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