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3세 아동의 /j/계 이중모음 산출과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과의 관련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정상 2세-3세 아동 18명을 대상으로, /j/계 이중모음의 발달과 이중모음 오류 유형을 통해 이들의 산출 특성을 파악하여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일반아...

본 연구는 정상 2세-3세 아동 18명을 대상으로, /j/계 이중모음의 발달과 이중모음 오류 유형을 통해 이들의 산출 특성을 파악하여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일반아동의 이중모음 발달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어린 조음장애 아동 및 중증 조음장애 아동의 원인파악 및 치료를 돕고자한다. 특히 이중모음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구별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중모음정확도와 연령별 초성유무 및 음운환경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중모음정확도와 자음정확도, 이중모음 오류 유형과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또한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2음절과 3음절 단어와 비단어를 빠르게 반복하여 4회 반복 횟수까지의 소요시간과 조음오류수를 측정하였고, 단어와 비단어 반복 과제에서 소요시간의 변화와 조음오류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령별로 비교하였다. 또한 측정된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이 자음정확도, 이중모음정확도, 이중모음 오류 유형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j/계 이중모음정확도는 2세 후반 아동과 3세 후반 아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세 후반 아동이 3세 전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연령별 초성 유무와 음운환경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중모음 오류 유형인 생략, 모음조화, 첨가의 오류는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이중모음정확도가 높을수록 생략과, 첨가 오류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음장애 아동을 평가할 때 자음정확도와 이중모음정확도를 변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생략과 첨가오류가 이를 구별해주는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2세-3세 아동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단어 반복과 비단어 반복 소요시간의 변화와 조음오류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비단어 반복과제에서는 비단어 반복 소요시간에서 2세 후반 아동이 3세 아동에 비해 더 오래 걸렸다. 이 밖에, 단어반복과 비단어 반복의 소요시간 및 조음오류수와 이 두 과제의 차이를 통해 살펴본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은 자음정확도 및 이중모음정확도, 이중모음 오류 유형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단어 반복 시 조음오류수가 많으면 비단어 반복 시에도 조음오류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단어, 비단어 반복 과제에서 조음오류수가 말 처리 과정의 입력어휘목록 및 출력어휘목록 중 입력어휘목록과 특히 관계된 변별적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상 2세-3세 아동의 /j/계 이중모음 산출과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은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2세-3세 아동의 /j/계 이중모음 발달과 산출 특성을 알 수 있었고, 자음의 조음능력을 평가하는 것 이외에 변별적으로 이중모음 조음능력을 위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또한 2세-3세 아동의 /j/계 이중모음 산출은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과 관련성이 없지만 조음 오류의 말 처리 과정에서 결함의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과제로 단어 및 비단어 반복과제가 효과적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subjects of 18 normal children aged two-three years, this study examined development of /j/-diphthongs and error types of diphthongs to understand their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inspect relation to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with a v...

With subjects of 18 normal children aged two-three years, this study examined development of /j/-diphthongs and error types of diphthongs to understand their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inspect relation to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diphthongs and helping find causes of child articulation disorders and severe articulation disorders and cure the children.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measure in distinguishing children who challenge diphthongs. To this end, this study not only compared differences depending on diphthong accuracy, presence and absence of initial sound by age, and phonological environments, but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diphthong accuracy and consonant accuracy, and diphthong error types. Additionally, for measurement of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two and three-syllable words, and nonwords were quickly repeated four times to measure used hours and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and in repetition of words and nonwords, changes in used hours and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were measured for age comparison. This study also intended to determine if the measured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correlated with consonant accuracy, diphthong accuracy and diphthong error types.
According to the study, /j/-diphthong accuracy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ate two-year-olds and late three-year-olds but the late three-year-ol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capable of /j/-diphthong accuracy than three-year-olds. However, there wasn't difference in presence and absence of initial sound by age, and phonological environments. In addition, while diphthong error types including omission, vowel harmony and addition errors didn'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consonant accuracy, there was a correlation that the greater diphthong accuracy was, the less omission and addition errors occurred. These suggest that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require discrimination between consonant accuracy and diphthong accuracy and particularly, omission and addition errors can be a measure for the discrimination.
In addition, word repetition conducted to measure two or three-year-olds'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and changes in used hours and articulation errors for nonword repetition didn't se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late two-year-olds took more time than three-year-olds to repeat nonwords. Besides, used hours in repeating words and nonwords,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and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which was examined through differences of the assignments above didn'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consonant accuracy, diphthong accuracy and diphthong error types. However, if the more articulation errors occurred when words were repeated,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in nonword repeti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statistics, which means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produced in word and nonword repetitions can be a differential measure related to input lexicons in speech processing. But,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production of /j/-diphthongs and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for normal children aged two-three years.
This study not only helped determine development of /j/-diphthongs and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ged two-three years, but also suggested differential evaluations for diphthong articulation ability are necessary in addition to evaluating consonant articulation ability. Also, it was verified that two or three-year-olds' production of /j/-diphthongs was unrelated to speech motor programming ability but word and nonword repetitions are effective in projecting the level of articulation errors to be produced in speech processing.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