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 능력과 영어 습득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국내 외국인학교 한국인 재학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국내 외국인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모국어 능력과 영어 발달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나아...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모국어 능력과 영어 발달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서울 광진구 소재 외국인 학교의 초등학교 1~6학년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시험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모두 한국어와 영어를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며 일정 기간 이상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아동들이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 집단의 나이, 영어 노출 시기, 언어 노출의 양과 질 그리고 평소 영어 사용빈도 등을 확인하고,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 시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영어 발달 능력 평가를 위해 교내 중간, 기말고사의 각 과목별 점수를 사용하였다. 조사 집단의 한국어 능력시험과 교내 영어 시험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어 어휘 및 문법 과목과 쓰기 과목의 경우 영어 문법과 작문 과목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과는 부가적 이중 언어주의를 지지하며, 한 언어가 다른 언어 발달을 방해했다고 보지 않는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이중 언어 아동들의 언어 노출 시기와 영어 발달 능력간의 상관관계는 증명하지 못했다. 영어에 최초로 노출된 시기보다는 평소 영어 사용 빈도가 아이들의 영어 발달 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 가족이나 친구들과 대화 시 영어를 사용하거나 문화 생활시 영어 사용 빈도가 높은 아이들이 전반적으로 영어 점수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무조건 어린 나이에 제 2언어 습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는 이제 바뀌어야 한다. 언어 노출 나이가 절대적으로 성공적인 언어 습득을 보장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 언어 노출 시기 뿐만 아니라 언어 노출의 양과 질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조기 영어 교육과 이중 언어 교육 정책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우리나라 EFL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영어 교육 정책이 제공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1(first language) competence and English acquisition by Korean students in domestic foreign school. Further, the study analyzes assumptions in order to provide the direction and the guideline t...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1(first language) competence and English acquisition by Korean students in domestic foreign school. Further, the study analyzes assumptions in order to provide the direction and the guideline to the policy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and early education in Korea. For the experiment, 4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peak Korean and English had been chosen to participate. First of all,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istributed to each student. The survey questionnaire requires participants' nationality, age of arrival in an English-speaking country, the quantity and quality of language input and learning environment. Then, a sample test and rating scale from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as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Korean proficiency. In order to assess participants' English proficiency, grades from mid-term and final-term had been colle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English competence in bilingual children was remarkably positive in grammar and writing. Those who got high scores on the Korean test, are also more competent in English. These results support additive bilingualism, in which children's second language can be improved without losing their L1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results suggest that the age of arrival and English competence in bilingual children were not closely related.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ge of onset does not play a big role in English acquisition. Rather, the consistent input and output of the language play a significant role for language learners. Students who showed high grades in English, are exposed to English more frequently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language usage at home or reading books in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the early exposure to English education may not always be positive in language development. Again, it does not always guarantee proficiency in English for language learners. Considering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should be applied to English education. Further, English education strategies tailored to Korean society is required to be applied in the school system.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