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어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비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Sino-Korean words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s thereto. Most Sino-Korean words have been borrowed from Chinese, and they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Korean vocabulary structure.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Sino-Korean words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s thereto. Most Sino-Korean words
have been borrowed from Chinese, and they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Korean vocabulary structure. For that reason, many Korean
speakers think that if a Sino-Korea word has the same form with a
Chinese word, their meanings and usages will be the same as well.
Some Sino-Korean words and Chinese words are used in the same
form, but their meanings, usages and emotional colors can be different.
So both Korean language leaners and Chinese language learners can
make a mistake while using the word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Sino-Korean words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s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meanings and word classes.
The first chapter, as the introduction part, suggested the purpose,
meaning,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looked at the advanced
research.
The second chapter, as the body part, classified Sino-Korean words
by word class, and compared the meanings of the words. Of the basic
words suggested by Ji Ryong Yim(2010), I selected 564 Sino-Korean
words as the objects of the study. To compare Sino-Korean words with Chinese words, I used 『동아 새 국어사전』(Dong-A New
Korean Dictionary) and 『现代汉语词典』(Current Chinese Dictionary)
as the objects of the study.
First, I compared Sino-Korean nouns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
corresponding words are also nouns. And I subdivided the words into
many groups depending on the case that they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that Sino-Korean words have wider meaning area,
that Chinese words have wider meaning area, or that their meanings
are partially the same or completely different. I also divided the
Sino-Korean words that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s thereto do
not have the same word class in the same way. Verbs and adjectives
had more corresponding words and were discussed first and pronouns,
numerals and adverb had less corresponding words and were discussed
later.
First, unlike most Sino-Korean words that are used in a single
word class,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s are often used in various
word classes.
Second,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meanings of a Sino-Korean
word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 are exactly the same or
similar, that either of them has a wider meaning area, and that they
have more than one meaning partially matched. Meanings of some
words were expanded or used in different ways.
Third, when the meaning of a Sino-Korean word matches up with
that of the corresponding Chinese word thereto, the Sino-Korean word
is explained in a concrete way through several meaning lines, but the
Chinese word was explained through one comprehensive line or
explained in the opposite way.
Fourth, because Kore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it forms a
sentence and expresses the grammatical relation by adding a suffix or
postposition to a Sino-Korean noun, but Chinese is an ideograph and
it expresses various grammatical relations depending on the sentence structure and context.
The third chapter is the conclusion. Here I summarized the contents
reviewed in the second chapter and arranged the research results.
By comparing Sino-Korean words with Chinese words, I found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ir usages. This study
examined typical example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m
by word class.
Other examples that this study did not deal with need to be studied in
the future. This study simply discussed the word class and meaning
relation between Sino-Korean words and Chinese words, but we need
to confirm the origin of the words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Also, when comparing Sino-Korean words with Chinese words, it is
necessary to use a Chinese unabridged dictionary like 『표준 국어 대
사전』(Korean Unabridged Dictionary) in order to draw more objective
and meaningful conclusion, but I could only find a middle-scale
dictionary, and this is what I need to solve in the future.

본 논문은 현대 한국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단어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자어는 대부분 오랜 세월 동안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한국어의 어휘체 계에서 중요한 위치...

본 논문은 현대 한국어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자어는 대부분 오랜 세월 동안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한국어의 어휘체
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많은 한국어 화자들은 한자어에 대
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형태가 같으면 의미와 용법도 동일할 것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어떤 단어들은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가 동일한 형태로
쓰이지만 의미나 사용하는 환경, 감정적 색채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국
어 학습자든 한국어 학습자든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
에서는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를 비교하여 품사나 의미가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그리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선
행연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한자어를 품사별로 분류하여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와 의미
를 비교하였다.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비교는 임지룡(2010)에서 제시한 기초
어휘 1,500개 가운데 한자어 564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비교는 비슷한 규모의 『동아 새 국어사전』과 『现代汉语词典』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한자어 명사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를 비교해서 품사가 일치하는
경우와 품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었다. 품사가 일치하는 경우는 다시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경우, 한자어의 의미 영역이 넓은 경우, 중국어 단어의 의미 영역이 넓은 경우,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의미가 일부분이 같은 경우와
의미가 전혀 다른 경우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
어 단어의 품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논
의의 순서는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대응 어휘가 많은 명사부터 동사, 형용사
를 먼저 하고 대응 어휘가 적은 대명사, 수사, 부사를 나중에 하였다.
현대 한국어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한자어가 단일 품사로 쓰이는데 비해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품사는 다양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다.
둘째,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의미가 완전히 같은 경우, 유사
한 경우, 어느 한쪽의 의미 영역이 넓은 경우, 의미 내항이 여러 개일 때 일부
분만 일치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같은 의미로 쓰이던 것이 의미가 확장된
경우도 있고 원래의 의미와는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셋째, 한자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의미가 같을 때 한자어는 여러
개의 의미 내항으로 나뉘어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중국어 단어는 하나로
포괄하여 의미를 설명하는 경우도 있고 이와 반대인 경우도 있다.
넷째, 한국어는 교착어여서 한자어 명사에 접미사를 붙이거나 조사를 붙여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문장을 구성하지만 중국어는 뜻글자여서 문장 구조
나 문맥에 따라 다양한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논의한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면서 연구 결과를 정리
하였다.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비교를 통하여 대부분의 어휘들의 용법이 같
거나 유사하다는 공통점뿐만 아니라 차이점을 상당히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예들에 대하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 둔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는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품사와
의미 관계에 대하여 논의했지만 이들 어휘의 기원을 확인해야 좀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의 비교도 『표준 국어
대사전』규모와 성격의 사전으로 비교할 때 좀 더 객관적이고 의미 있는 결과
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사전과 중국어 사전의 규모를 중사전으로
비교한 것도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