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결과상 ‘-고 있다, -아/어 있다’ 구문과 중국어 ‘着’ 구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고 있다, -아/어 있다’ 구문을 통하여 어떠...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결과상 ‘-고 있다, -아/어 있다’ 구문과 중국어 ‘着’ 구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고 있다, -아/어 있다’ 구문을 통하여 어떠한 행동이 끝난 후 그 결과의 상태 지속을 나타내고 중국어에서는 ‘着’ 구문을 통하여 결과 상태 지속을 나타낸다. 또한 중국어의 경우 일부 형용사와 ‘着’가 결합하여 상태 지속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어에서는 동사와 ‘-고 있다, -아/어 있다’가 결합하여 상태 지속을 나타내지만 중국어는 문법형태소 ‘着’와 동사, 형용사가 결합하여 상태 지속을 나타내므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결과상 ‘-고 있다, -아/어 있다’ 구문과 중국어 ‘着’ 구문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결과 상태 지속을 나타내는 구문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어 ‘-고 있다’와 ‘-아/어 있다’의 용법과 통사적 특징을 논하고 이들의 기능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고 있다’는 크게 행위의 진행, 상태 지속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고 있다’의 통사적 특징으로는 첫째는 ‘-고 있다’는 자동사, 타동사와 모두 결합 가능하고, 둘째는 ‘-고 있다’는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다는 점이다. 반면 ‘-아/어 있다’의 용법은 어떤 동작 또는 변화가 끝난 후 그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낸다.
또한 중국어 ‘着’의 용법과 통사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특히 ‘着’와 결합 가능한 동사 유형과 형용사, ‘着’를 생략 가능한 동사도 제시하였다. ‘漢語動詞用法詞典’(孟棕 외 1999)에 등장한 1,223개 동사 중 ‘着’와 결합할 수 있는 동사를 조사하여 분류하였다. 중국어의 경우 ‘知道(알다), 理解(이해하다), 認識(알다), 感覺(느끼다)’ 등 인지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 ‘同情(동정하다), 希望(희망하다), 厭惡(싫어하다)’ 등 심리활동을 나타내는 일부 동사, 판단, 존재 등을 나타내는 동사 ‘是(~이/가 ~이다), 叫(부르다), 姓(성씨가 ~이다), 叫作(부르다), 屬於(속하다), 等於(같다)’ 등, ‘死(죽다), 斷(끊어지다), 開始(시작하다), 開幕(개막하다), 結業(수료하다), 畢業(졸업하다) 등 비지속성 동사는 ‘着’와 결합할 수 없다. 사전에 수록된 단어 중 ‘着’와의 결합 여부를 CCL 말뭉치를 확인한 후 예문을 추출하였다. 이외에 ‘着’와 결합 가능한 형용사 29개도 제시하였다.
그 다음 한국어 ‘-고 있다, -아/어 있다’ 구문과 중국어 ‘着’ 구문의 용언과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우선 결과상 ‘-고 있다’ 구문과 ‘着’ 구문의 공통점은 ‘입다/穿’, ‘쓰다, 끼다, 매다/戴’, ‘들다/拿, 감싸다/蒙’ 등 인체에 착용하는 동사와 결합하여 상태 지속을 나타내는 것이다. 차이점은 ‘알다/知道, 이해하다/理解, 느끼다/覺得, 기억하다/記得’ 등 동사의 경우 한국어는 ‘-고 있다’와 결합 가능하지만 중국어는 ‘着’와 결합할 수 없다. ‘-아/어 있다’ 구문과 ‘着’ 구문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중국어에서 ‘寫(쓰다), 登(싣다), 放(놓다), 挂(걸다), 擺(배열하다), 貼(붙다)’ 등 타동사가 ‘着’와 결합하여 상태 지속을 나타낼 경우에는 한국어의 ‘피동사, 사동사 / 아/어 있다’로 표현된다. 또한 ‘죽다/死, 닮다/像, 가다/去, 오다/來’ 등 동사는 한국어의 경우 ‘-아/어 있다’와 결합할 수 있지만 중국어의 경우 ‘着’와 결합할 수 없다. 중국어 ‘형용사 / 着’ 구문은 한국어의 ‘-고 있다’ 구문, ‘-아/어 있다’ 구문, 형용사 구문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상태 지속을 나타내는 구문을 교수할 때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리라 본다.
撰写本论文的目的在于探索韩国语结果态“-고 있다, -아/어 있다(-go iisda, -a/e iisda)”句子和汉语“着”字句的共同点與不同点。韩语用“-go iisda, -a/e iisda”句子表示某种动作结束后持续的状...
撰写本论文的目的在于探索韩国语结果态“-고 있다, -아/어 있다(-go iisda, -a/e iisda)”句子和汉语“着”字句的共同点與不同点。韩语用“-go iisda, -a/e iisda”句子表示某种动作结束后持续的状态,而汉语用“着”字句来表示结果持续的状态。此外,汉语里的一些形容词能够與“着”相结合表示状态的持续。因此,中国学生学习韩语的“-go iisda, -a/e iisda”句子的时候造出不少病句。
本论文将韩国语的结果态“-go iisda, -a/e iisda”句子和汉语“着”字句进行对比略论,找出两者的共同点和不同点,韩语论文,从而试图让中国学生更加有效地学习韩语里的表示结果状态持续的句子。
本论文首先略论了韩国语“-go iisda, -a/e iisda”的语义和语句的特点,找出了两者的异同。“-go iisda”的语义大體分为两点,一是动作的进行,二是状态的持续。同时,“-go iisda”语句的特点是:一、可與自动词、他动词结合;二、不可與形容词结合。與此相反,“-a/e iisda”表示某种动作或变化结束后持续的状态。
本论文还论述了汉语“着”的语义和语句的特点。尤其列举了可與“着”结合的动词类型和形容词、能够省略“着”的动词。参考《汉语动词用法词典》(孟棕等 1999),对1223个动词进行略论之后找出了能够與相结合的动词。汉语的“知道、理解、认识、感觉”等表示认知状态的动词、“同情、希望、厌恶”等表示心理活动的一些动词、“是、叫、姓、叫作、属于、等于”等动词、“死、断、开始、开幕、结业、毕业”等非持续性动词不能與“着”相结合。论文中引用的例句来源是CCL语料库。此外,韩语论文范文,还选出了能與“着”相结合的29个形容词。
接着论述了韩国语“-go iisda, -a/e iisda”句子和汉语“着”字句的共同点和不同点。“-go iisda”句子和“着”字句的共同点是與“穿、戴、拿、蒙”等穿着动词结合表示状态的持续。不同点是“알다/知道、이해하다/理解、느끼다/觉得、기억나다/记得”等表示认知状态的动词,在韩语里可以與“-go iisda”结合,而汉语不能够與“着”结合。接着论述了“-a/e iisda”句子和汉语“着”句子的不同点。两者的不同点是汉语里的“写、登、放、挂、摆、贴”等他动词與“着”结合表示状态的持续情况时,與韩语的“被动词、使动词 / -a/e iisda”相对应。此外,韩语里的“오다(oda)、닮다(damda)、가다(gada)”等动词能够與“-a/e iisda”相结合,而汉语里的“死、像、去、来”等动词不能與结合。
汉语里的形容词和“着”结合的句子翻译成韩语时表现的形式不同,有“-go iisda, -a/e iisda”句子和形容词句子。
根据论文里论述的内容,向中国学生教授韩语的表示状态持续的句子时,若用对比略论法, 预计学习效果更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