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한국과의 경제, 문화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생들이 많이 생겨났다. 구어는 문어와는 달리 정확한 문법의 사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발음으로 발화하... 중국은 한국과의 경제, 문화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생들이 많이 생겨났다. 구어는 문어와는 달리 정확한 문법의 사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발음으로 발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발화에서 문법적 오류나 잘못된 어휘 선택 못지않게 잘못된 발음이 의사소통에 큰 장애를 주기 때문이다. 또한 부자연스러운 발음으로 발화할 경우, 학습자는 자신감을 잃게 되고, 이는 학습자의 학습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발음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문제이다. 본 논문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중국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한국어를 습득할 때 한국어 파찰음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한국인의 파찰음과 대조 분석하여 밝히는 데 있다. 첫째, 한국어와 중국어 파찰음의 음소체계를 대조 분석한 후, 음성 인지 실험을 통해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화자가 발음한 한국어 자음 /ㅈ/, /ㅊ/, /ㅉ/을 듣고 모국어 /z/, /c/, /zh/, /ch/, /j/, /q/와의 유사성의 정도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점수화하여 L2인 한국어의 파찰음과 모국어 파찰음들의 동화정도를 살펴보았다. 둘째, 다음에 중국인 학습자 집단별 한국어 인지 오류 빈도를 도출하였다. 즉 2:1 범주(Single Categories, SC)모드인 평음-경음간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불완전 2:1 범주(Category-Goodness, CG)모드인 평음-격음이다. 구별이 가장 잘한 음운짝은 1:1 범주(Two Categories, TC)모드인 경음-격음이다. 말소리 지각적 동화 모형(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PAM)과 음성 습득 모형(Speech Learning Model, SLM)의 동화정도가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의 음성산출 실험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청취 실험을 통해 한국어의 자음을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별로 분석한 후 이런 발음 양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한국인 화자의 음성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고찰해보았다. 외국어와 모국어 유사 자음 사이에는 자음 분류기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어 자음체계에서는 파찰음을 기식성의 유무에 따라 구분하므로 한국어의 평음과 경음의 구분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어를 배우는 모든 중국인 학습자들은, 특히 초급 학습자들은 한국어와 중국어 자음의 분류기준의 차이를 우선적으로 알아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