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tudying Korean language is phosphorus of analysis and student related response of one vocabulary meaning this study as driven in order to help polysemy education of a speaker there is a few it the in groping to an education plan more efficien...
Chinese studying Korean language is phosphorus of analysis and student related response of one vocabulary meaning this study as driven in order to help polysemy education of a speaker there is a few it the in groping to an education plan more efficient regarding Korean language 'enter' through analyses have a purpose.
I considered a polysemy and related theory in a Chapter 2. And contents that theoretical background and polysemy education became regarding discussed together it.
It is <An age Korean language dictionary>(an information development circle linguistic Yonnie University, 1998) and <Modern Chinese Dictionary>(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12) advance in a Chapter 3. I consider a meaning item of 'enter', and I will analyze it with 'enter' presented to educate. I will look for common point and difference of these meaning functions as I analyze an each meaning item. I am the same of the meaning, and I will judge differences in these processes as I analyze Interpretation and a direct example. And Chinese response expression regarding an each meaning item of 'enter' analyzes it, and a Korean language response expression regarding an each meaning item of 'enter' analyzes it.
I drove Chinese Korean language student by meaning items and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and I wrote down whether or not there was phosphorus of student, and I analyzed it. What I was recognized by polysemy. meaning to a Korean language speaker was difficult in recognizing it by 'polysemy' meaning to the Chinese Korean language student, and there were a few differences whether or not there was phosphorus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 through this, and I was lighted up. This is for necessity to drill in a polysemy to look considering languages of the Chinese student in case of polysemy professors that there was it. Also, the Chinese student drives it, and is phosphorus regarding by intuition like a speaker in meaning discriminations of this company of all there is a few it executed an inquiry to the Chinese student after writing a former questionnaire in order to light up with a difference. I selected 40 people raw Chinese studying abroad of a high-quality level during the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native language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in him. And I referred to meaning frequency regarding 'enter' an inquiry direct korean didn't do it, and to have gone out of to <A development work advance basic vocabulary meaning frequency educational Korean language>(SeoSangGyu, 2000).
Lastly I selected educational contents by a step of efficient 'enter' for the Chinese Korean language student with bases, and a concrete class model picture presented result of research of a Chapter 3 and four sheets in a Chapter 5.
이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어 모어 화자의 다의어 학습을 돕기 위하여 한·중 어휘 의미의 대응 관계의 분석과 학습자의 인지적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다의동사 ‘들다’에 대한 보...
이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어 모어 화자의 다의어 학습을 돕기 위하여 한·중 어휘 의미의 대응 관계의 분석과 학습자의 인지적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다의동사 ‘들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다의어와 관련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과 다의어 교육이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내용도 같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연세한국어사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1998)과 <現代漢語詞典>(中國社會科學院語言探讨所, 2012)에 제시되는 ‘들다’와 ‘進’의 의미 항목을 고찰하여 분석할 것이다. 각각 의미 항목을 분석하여 이들 의미 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뜻풀이와 함께 직접적인 용례를 분석하여 그 의미의 같고 다름을 판단할 것이다. 그리고 ‘들다’의 각 의미항목에 대한 중국어 대응표현도 분석하고 ‘進’의 각 의미항목에 대한 한국어 대응표현도 분석한다.
4장에서 의미항목별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학습자의 인지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화자에게는 다의적인 의미로 인지되는 것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다의적인’의미로 인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모어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인지적인 차이가 있음을 밝히게 되었다. 이는 다의어 교수 시에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를 고려하여 다의어를 교수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다의 동사의 의미 변별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어 화자와 같은 직관을 보이는가에 대한 인지적 차이를 밝히기 위해서 먼저 설문지를 작성한 후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대상으로는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재학 중인 고급 수준의 중국 유학생 40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모어화자에게 직접 설문조사는 하지 않고 < 한국어 교육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의 개발 사업 보고서> (서상규 외, 2000)에 나온 ‘들다’에 대한 의미빈도를 참고했다.
끝으로 5장에서는 3장과 4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들다’의 단계별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수업모형도 제시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