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measuring text difficulty to select eligible reading texts for each student’s Korean level. Basically, text difficulty can be the most concerned factor in a procedure of selecting texts, but there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measuring text difficulty to select eligible reading texts for each student’s Korean level. Basically, text difficulty can be the most concerned factor in a procedure of selecting texts, but there is a few studies related to readabilit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tudy of the objective tools for matching readers to texts, and this study tries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 evaluate the texts for Korean reading education.
Emphasizing the features of text itself which is contrary to traditional readability formula theories, this study regards only surface features as the factor for predicting text difficulty.
After taking word difficulty and sentence length as the common surface features that affect readability follo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two more features selected; grammatical unit and ‘adorning expression’. This ‘adorning expression’ is a newly proposed notion in this study, which contains idiomatic expression including proverb, the collocation whose meaning has something more than literal meaning, the rhetorical expression such as figures of speech, personification and irony, the indirect expression and the cultural expression that strongly implies cultural background.
Regarding word and grammar difficulty, the formula is established with the criteria of the inventory in Kim, J. S., et. al. (2011) and the sentence length is calculated by the average number of words in text. For the adorning expression, the formula is established with the number of adorning expressions per the number of sentence in text.
With these formulas, the standard texts were analyzed and each formula’s validity was proved. The texts developed by the expert groups, which are widely admitted, and whose level had been already established were selected as standard; 135 samples from the reading tests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72 samples from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Culture Education Center of Korea University.
Applying this measurement of text difficulty, 21 texts from the KAP books and 16 texts from the real world materials we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its utilizability in Korean reading education was investigated.
It has to be basically performed to measure linguistic feature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d quantitatively for continuing and developing studies about readability or text difficul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could be a significant and full-scale study of text difficulty in Korean reading education.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읽기 텍스트의 선정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읽기 교육에 필요한 교육 요건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읽기 텍스트의 선정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읽기 교육에 필요한 교육 요건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난이도는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텍스트의 난이도를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객관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기존 이독성 연구를 참조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용 텍스트의 난이도를 판단할 수 있는 측정법을 구안하고자 했다.
일반적인 이독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와 구분지어 텍스트 자체 요인을 규명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자체 요인 중 텍스트의 표면에 드러나는 언어적 요인만을 텍스트 난이도 측정 요인으로 삼고자 함을 밝혔다.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이독성 공식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요인인 어휘와 문장 길이를 이독성 요인으로 우선 선정한 후 모국어 읽기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에서 차별되는 요인으로서 문법 항목과 ‘꾸밈표현’이라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새로이 제시하는 꾸밈표현은 속담 및 사자성어를 포함한 관용 표현, 연어 중에서 구성의 합의 의미가 불투명한 표현, 비유법, 의인법, 반어법 등의 각종 수사적 표현, 직접적이지 않고 에둘러 표현하는 간접 표현, 문화적 함축을 강하게 담고 있는 표현 등을 포함하는 특별한 개념이다.
어휘와 문법에 대해서는 김중섭(2011)의 목록을 기준으로 한 공식을 설정했고 문장 길이는 텍스트의 평균 어절수를 계산하는 공식을 설정했으며 꾸밈표현은 텍스트의 전체 문장 수 대비 꾸밈표현 개수에 가중치를 두는 공식을 설정했다.
이 공식으로 이미 등급이 설정되어 있고 널리 인정받는 기관의 전문가 집단이 개발한 텍스트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영역 지문 135개와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통합교재의 텍스트 72개의 난이도를 측정한 후 분석결과와 기존 등급의 일치도를 확인함으로써 공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설정한 요인별 난이도 측정법을 적용하여 학문목적 교재 7종의 텍스트 21편과 실제 자료로서의 텍스트 16편의 난이도를 측정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난이도 측정이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텍스트의 난이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이해를 어렵게 하는 언어적 요소를 양적으로 계량하는 작업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서의 본격적인 양적 난이도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보적인 단계이기는 하지만 꾸밈표현이라는 항목을 통해 텍스트의 질적 평가를 시도함으로써 양적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것이 본 연구가 다른 연구들과 구별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