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사전 내 표제어에 따른 대역어의 대응관계 분석 : ‘2자 한자 어근 / 접미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에서는 ‘2자 한자 어근 / 접미사’로 이루어진 한국어의 용언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한일사전의 표제어 및 대역어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와 동시에 코퍼스를 이용한 빈도조사를 통하...

본고에서는 ‘2자 한자 어근 / 접미사’로 이루어진 한국어의 용언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한일사전의 표제어 및 대역어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와 동시에 코퍼스를 이용한 빈도조사를 통하여 대역어와 용례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고에서 알게 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사전에서 용언의 수록방식이 한자 어근의 명사형으로만 제시되어 있어 한국어의 용언에 해당하는 일본어 동사나 형용사 및 형용동사의 제시를 표제어가 제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역어에 일본어능력시험 1, 2급에 해당하는 고급단어와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비교적 낮은 한자대역어의 제시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례에 있어서는 일본인이 자주 쓰는 표현이라고 할 수 없는 공기(共起)경향이 낮은 연어나 작례(作例)가 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부적절한 한자어의 사용이나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한자어 사용의 원인에 한일사전의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용언에서 단편적인 부분만을 다룬 것으로 한자어로 이루어진 용언 이외의 한국어 고유어 및 다른 품사에서도 본고의 조사결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에서 그 한계가 있다. 그러나 표제어와 대역어 간의 코퍼스 조사를 통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에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한국어 고유어에 대한 표제어와 대역어와의 관계 및 표제어의 선정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그 외의 다른 품사에서도 표제어와 대역어와의 관계와 더불어 용례의 타당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바탕으로 일본어 학습자를 배려한 한일사전의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headwords and target words in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focusing on Korean predicates consisting of ‘Chinese roots in two letters / suffix’.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headwords and target words in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focusing on Korean predicates consisting of ‘Chinese roots in two letters / suffix’.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examines problems of target words and examples according to a frequency questionnaire from the Corpus.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presentation of Japanese verbs, adjectives or adjective verbs equivalent to predicates in Korean was constrained by headwords because predicates were included in the dictionary only in a way of nouns of Chinese root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advanced words equal to the first and second levels of JLPT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Chinese target words with a comparatively low frequency in daily life were greatly presented as target word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ictionary puts top priority on words with a low priority for Japanese leaning not on basic vocabulary which should be first provided for Japanese learners. In addition, this problem can also be caused by the way the dictionary includes headwords; when it presents Korean target words for headwords, the target words are described first.
In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headwords and target word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was no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headwords and target words.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 same Chinese characters are spoken by the Korean and Japanese, meanings are used differently in both countries.
Third, when it comes to examples, collocations or cases with a low co-occurrence disposition, which the Japanese did not usually use, were main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dictionary has an impact on the inappropriate use of Chinese characters by man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n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not actually spoken by Japanese.
As this study shows a fragmentary part of Korean predicates, there are limits that it does not investigate whether or not native Korean words and other word class except predicates in Chinese characters have also the same result as this research. However, it can be significant that the important results come out through the Corpus-based analysis on headwords and target words.
It is also essential that a following study shoul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words and target words not only for native Korean words but for other word class, and the selection method of headwords. Moreover,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should also be analyzed considering Korean Japanese learners based on the in-depth discussion on the validity of example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