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추측 표현 연구 : 제시 순서에 따른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abou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in Korean. In this study we look into the presenting order of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adnominal endings like ‘-ㄹ’ and ‘-ㄴ.’ Used in this study, the presenting order refers to the...

This study is abou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in Korean. In this study we look into the presenting order of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adnominal endings like ‘-ㄹ’ and ‘-ㄴ.’ Used in this study, the presenting order refers to the order of presenting within the one expression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We suggest that when presenting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to a foreign learner, we teach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dnominal endings first, followed by those with ‘-ㄴ’ adnominal endings consider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In the case of ‘-ㄹ/ㄴ 것 같다’ expressions, ‘-ㄹ 것 같다’ of which the degree of uncertainty is higher should be presented first, followed by ‘-ㄴ 것 같다’. The expressions of ‘-ㄹ/ㄴ 것이다, -ㄹ/ㄴ 듯싶다, -ㄹ/ㄴ 듯하다, -ㄹ/ㄴ 모양이다, -ㄹ/ㄴ 성싶다 are also same of the case.
In chapter 2, 3, and 4, we verified whether such proposition is valid or not. In chapter 2, we insisted tha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dnominal endings have a higher degree of uncertainty than those with ‘-ㄴ’ adnominal endings. Because ‘-ㄹ’ adnominal endings have the semantic feature such as [/Uncertainty], [-Determinacy], [-Evidentiality] and ‘-ㄴ’ adnominal endings have the semantic feature such as [/Uncertainty], [/Determinacy], [/Evidentiality]. In chapter 3, we reviewed Korean textbooks, grammar books, and learner’s dictionaries to raise the issue tha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were presented without any fixed set of rules. To solve this, it was proposed that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dnominal endings first, followed by those with ‘-ㄴ’ adnominal endings consider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this solution, we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foreign learners and experimented with the models during classes for foreigners three tim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Korean language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were compar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s and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first group, score of five people(50%) was improv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score of three people(50%) was improved.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group, score of five people(62.5%) was improved. Furthermore, total score of each group was also improved. Total score of the first group was improved six points. Total score of the second group was improved eight points. Total score of the third group was improved two poin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proper learning information on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for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elp a foreign learner use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fit for discourse situations according to the Korean grammar, and enhance such language competence as speaking, hear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foreign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ree aspects. Firstly, it suggested a way of presenting the expressions of conjecture with ‘-ㄹ’ and ‘-ㄴ’ adnominal endings in order consider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Secondly, it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foreign learners and then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s,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Thirdly, it proposed a set of rules for presenting order and description from Korean textbooks, grammar books, and learner’s dictionaries.

본 논문은 한국어의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로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외국인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불확실의 정도를 고려하여 순서대로 제시하자고 제안하였...

본 논문은 한국어의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로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외국인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불확실의 정도를 고려하여 순서대로 제시하자고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제시 순서는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하나의 추측 표현 내에서 제시하는 순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ㄹ/ㄴ 것 같다’의 경우 불확실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ㄹ 것 같다’를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에 ‘-ㄴ 것 같다’를 제시한다. ‘-ㄹ/ㄴ 것이다, -ㄹ/ㄴ 듯싶다, -ㄹ/ㄴ 듯하다, -ㄹ/ㄴ 모양이다, -ㄹ/ㄴ 성싶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같은 제안을 하고 타당성이 있음을 밝히기 위한 논의를 2장, 3장, 4장에서 하였다. 먼저 2장에서 ‘-ㄹ’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은 상대적으로 불확실의 정도가 높고,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은 상대적으로 불확실의 정도가 낮다고 논의하였다. 왜냐하면 ‘-ㄹ’은 [/불확실], [-결정], [-증거]를 의미 자질로 갖고, ‘-ㄴ’은 [/불확실], [/결정], [/증거]를 의미 자질로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3장에서 한국어 교재, 문법서, 학습 사전을 분석하여 공통으로 나타난 가장 큰 문제점으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이 일정한 기준도 없이 제각각 제시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후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불확실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ㄹ’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먼저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 이 해결 방안을 반영하여 교수­학습 모형설계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세 차례 실제 적용해 보는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전후로 1, 2차 모의 한국어 시험을 실시한 후 채점하여 점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1그룹의 경우 5명(50%), 2그룹의 경우 3명(50%), 3그룹의 경우 5명(62.5%)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이 획득한 총점에서도 1그룹의 경우 /6점, 2그룹의 경우 /8점, 3그룹의 경우 /2점이 향상되었다. 이로써 교수­학습 모형을 통한 학습 효과와 불확실의 정도에 따라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순서대로 제시하자는 주장이 타당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에 관한 적절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학습한 외국인 학습자가 추측 표현을 담화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고 문법에 맞게 정확히 사용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불확실의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제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 추측 표현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해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해 보는 실험을 하여 학습 효과와 주장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는 점, 향후 한국어 교재, 한국어 문법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 ‘-ㄹ, -ㄴ’의 관형사형 어미로 구성된 추측 표현을 제시하고 기술(記述)할 때의 기준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