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관용어의 결합 제약과 정도성에 관한 연구 : ‘명사/용언’형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어의 문장에서 둘 이상의 어휘가 공기(共起)하여 나타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것이 ‘약속을 잡다’와 같은 연어든, ‘발이 넓다’와 같은 관용어든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이와 같은...

어의 문장에서 둘 이상의 어휘가 공기(共起)하여 나타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것이 ‘약속을 잡다’와 같은 연어든, ‘발이 넓다’와 같은 관용어든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이와 같은 결합 형태를 자연스럽게 ‘함께’ 사용한다. 이러한 연어와 관용어에 관한 그간의 연구는 연어와 관용어의 범주를 분류하려는 작업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연구자마다 분류하는 기준과 방법이 달라 개념 이해에 혼동을 빚기도 했다. 이에 필자는 연어와 관용어를 분류하되, ‘결합의 제약’을 기준으로 삼아 정도성이 나타나도록 하여 어휘적인 특성을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 과정과 결론 도출의 일관성을 위해 연구 대상은 1차적으로명사/용언’형으로 선정했다. 자유결합 ‘날짜를 잡다’, 연어 ‘결정을 내리다, 가격이 오르다’, 관용어 ‘소설을 쓰다, 눈치가 빠르다, 손이 크다, 시치미를 떼다, 목을 놓다, 아이를 배다, 머리를 올리다, 씨가 마르다, 미역국을 먹다, 피를 나누다’로 총 14가지이다.
이 14가지의 유형에서 ‘A/B' 형태의 연어와 관용어는 결합된 상태에서 변형이 얼마나 유연한지 고정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총 63가지의 실험 항목을 설정했다. 큰 기준으로 ’문법적 결합 제약‘, ’화용적 결합 제약‘, ’보조용언 결합 제약‘을 설정했고, 하위 항목은 최대한 상세하게 설정하여 정교한 실험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문법적 결합 제약’에서는 ‘구조의존성’, ‘부정문 형성’, ‘서법’, ‘종결어미’, ‘시제·상’, ‘피동·사동’, ‘-시’ 결합, ‘-들’ 결합, ‘조사 생략 및 결합’을 기준으로 두었고, ‘구조의존성’에서는 ‘부사어 삽입’, ‘관형어 수식’, ‘관형절 형성’, ‘명사절 형성’, ‘분열문 형성’, ‘대용화’를 하위 기준으로 두었다. ‘화용적 결합 제약’에서는 ‘존칭’, ‘특정인’, ‘성별’, ‘인칭’을 하위 기준으로 두었으며, ‘보조용언 결합 제약’에서는 ‘-보다’, ‘-모르다’, ‘-생기다’, ‘-쉽다’, ‘-틀리다’, ‘-같다’, ‘-되다’, ‘-좋다’, ‘-두다’, ‘-버리다’, ‘-싶다’, ‘-있다’ 12가지의 항목을 두었다.
14가의 유형이 63가지 항목 중 몇 개의 제약을 받는지 비문의 개수에 따라 ‘자유로운 결합’부터 ‘강한 제약’까지 나열했으며 결과적으로 ‘자유결합-연어-관용어’ 순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4가지의 유형을 가지고 63가지의 항목을 각각 분석할 수도 있었다. 어떤 항목에서는 대체로 자유로운 결합을 보였고, 어떤 항목에서는 ‘자유결합-연어-관용어’의 순서로 제약의 정도성을 보였으며, 어떤 항목에서는 대부분 제약을 받았다.
필자가 설정한 63가지의 항목과 14가지의 유형을 가지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대체로 ‘자유결합-연어-관용어’의 스펙트럼은 유지되었지만, 예외적으로 관용어보다 제약을 강하게 받는 연어도 있을 수 있다는 것과, 본 실험에서 제약의 개수가 똑같더라도 제약을 받는 항목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사/용언’이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특성과 똑같은 ‘명사/용언’ 형태임에도 각각의 어휘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특성을 알아낼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 비해 실험 기준이 세분화되었고 그 결과 또한 상세히 기술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고를 통해 연어와 관용어에 관한 연구의 주제가 한층 더 풍부해지길 기대한다.

In the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two or more words are often combined. Whether it is a collocation like ‘make an appointment’ or an idiom like ‘have a wide acquaintance’, the native Korean speakers naturally use these combinations ‘toget...

In the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two or more words are often combined. Whether it is a collocation like ‘make an appointment’ or an idiom like ‘have a wide acquaintance’, the native Korean speakers naturally use these combinations ‘together’. Most studies on these collocations and idioms have focused on defining and classifying the collocations and idioms. However, they have caus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because each scholar applied different standards and methods of categoriz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collocations and idioms and described its characteristics of gradability based on the ‘syntagmatic restricting’.
For the consistency of the progress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primary subject was the form of ‘noun / verb’. For this study, a total of 14 combinations were selected, including a liberal combination ‘set a date’, collocations ‘make a decision and raise the price’, and idioms ‘make up a story, be quick-witted, be open-handed, play the innocent, melt into tears, bear a child, tie the knot, go extinct, flunk the test, and be blood-related’.
Among these 14 combinations, a total of 63 test items were selected to see how flexible or inflexible the variations are when the combination of collocations and idioms in the form of 'A/B' where A is a noun and B is a verb. The primary standards were ’grammatical limit of combination‘, ’pragmatic limit of combination‘, and ’syntagmatic restricting of auxiliary verbs‘, and the subcategories were selected as detailed as possible for an elaborate examination.
‘Grammatical limit of combination’ included ‘dependence on structure’, ‘formation of negative sentences’, ‘mood’, ‘sentence enders’, ‘tense and aspect’, ‘passive voice and causation’, ‘-si’ combination, ‘-deul’ combination, and ‘omission and combination of postpositional particles’. ‘Dependence on structure’ was further categorized into ‘insertion of an adverbial phrase’, ‘modification of an adnominal phrase’, ‘formation of an idiomatic clause’, ‘formation of a noun clause’, ‘formation of cleft construction’, and ‘pronominalization’.
‘Pragmatic limit of combination’ included ‘honorific’, ‘particular person’, ‘gender’, and ‘person’. ‘syntagmatic restricting of auxiliary verbs’ included 12 categories, including ‘-see’, ‘-don't know’, ‘-get’, ‘-easy’, ‘-get wrong’, ‘-like’, ‘-become’, ‘-like’, ‘-leave’, ‘-discard’, ‘-want’, and ‘-be’.
The combinations were listed in the ascending order starting with the most liberal combination based on how many of the 63 items limit each of the 14 combinations. As a result, the order of ‘liberal combinations - collocations - idioms’ was visually verified. Also, each of the 63 categories could be analyzed with the 14 combinations. Some categories generally showed liberal combinations, while other categories showed the gradability of limit in the order of ‘liberal combinations - collocations - idioms’. In some categories, almost all combinations were limited.
The 63 categories and 14 combinations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could lead to various discussions. Generally, the spectrum of ‘liberal combinations - collocations - idioms’ was maintained, but there can be some collocations that are more strongly limited than idioms in exceptional cases and the combinations can be limited by different categories even if they were limited by the same number of categories in this study. Also, because the form was ‘noun / verb’,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ord used.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andards of this study were further categorized compared with the preceded studies and the findings were also described in detai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further expands the topics of studies on collocations and idiom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