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중심내용 파악하기 지도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사실적 이해의 바탕이 되는 중심내용 파악의 원리와 그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고찰해 보고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궁극적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켜 학...

연구는 사실적 이해의 바탕이 되는 중심내용 파악의 원리와 그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고찰해 보고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궁극적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켜 학문적 성취를 이루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고가 목표로 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는 두 가지 분야 즉, 텍스트 구조 분석 및 표지에 관한 연구와 중심내용 파악하기에 관한 연구를 국어 교육 분야와 한국어 교육 분야로 나누어서 그 의의와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중심내용 파악하기의 전략적 접근을 위해서 읽기 지도와 읽기 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개괄한 후. 중심내용 파악하기의 직접적인 이론적 토대가 되는 텍스트 구조 분석과 중심내용 파악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실태와 읽기 지도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 서울 지역 소재의 K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부생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질문, 한국어 읽기 전략 실태와 텍스트 구조 표지에 관한 질문, 중심내용 파악과 읽기 지도 요구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중심내용 파악하기 지도 방안 마련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우선 텍스트에 빈번하게 출현하고 표지 교육과 연계하여 지도하기 수월하도록 텍스트 의미 구조를 ‘나열 구조, 비교-대조 구조, 핵심-상술 구조, 원인-결과 구조, 문제-해결 구조’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상위 구조에 위치하는 명제를 중심내용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략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 위의 다섯 가지 의미 구조를 다시 ‘위계성’을 기준으로 ‘대등 구조’와 ‘종속 구조’로 나누었다. 텍스트 구조 표지는 ‘관계 표지’와 ‘기능 표지’로 크게 나누고, ‘관계 표지’를 다시 텍스트 의미 구조와 동일하게 다섯 가지로 하위 분류 하였다. 그리고 ‘기능 표지’는 ‘개관 표지, 도입 표지, 요약 표지, 전환 표지, 인용 표지’로 분류하여 텍스트에 대한 하향적 접근을 강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미 구조 유형별 중심내용 파악의 원리를 제시한 후, 학문 목적 한국어를 기반으로 집필된 읽기 교재에서 텍스트를 선정하여 거시 규칙을 적용하여 중심내용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 과정에서 텍스트의 구조를 요약적으로 도식화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도모하였다. 또한 중심내용 파악하기 절차와 전략을 명시화하고 그 전략에 따라 복합 구조로 이루어진 비교적 긴 텍스트를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실제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중심내용 파악을 위한 지도 내용 및 주요 활동을 제시한 후, 중심내용 파악을 위한 수업 구성안을 총 14차시로 위계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의미 구조를 위계화하고 표지가 함의하는 정보 중요도를 거시 규칙과 연계하여 텍스트의 위계적 구조에 거시적으로 접근하여 상위 명제를 추출할 수 있는 내용적 원리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가 수립한 교육 방안을 실제 수업에 투입하여 교육적 효과와 적합성을 검증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고가 제시한 중심내용 파악 전략 훈련이 학문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읽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주로 설명적 텍스트에만 국한시켜 논의를 진행했기 때문에 텍스트를 다양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하는 자료 텍스트 개발과 함께 학습자 중심의 읽기 전략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읽기 수업 모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vance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reading competence to ultimately help them accomplish their scholarly achievements, by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comprehension of main idea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vance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reading competence to ultimately help them accomplish their scholarly achievements, by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comprehension of main idea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texts realistically and its specific strategy, and devising a teaching methodology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In Chapter 1, this study specified its purpose and necessity and proposed its target task.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ext structure analysis and marker and on comprehension of main idea. It divided those studies into two fields (i.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irst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limit of them.
In Chapter 2, this study reviewed general theories on reading instruction and reading strategy to take a strategic approach to comprehension of main idea. It looked into the text structure analysis and the strategy of comprehension of main idea which are direct theoretical foundations for comprehending the main idea of texts.
In Chapter 3,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94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in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read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ir demands for reading instruction. The questionnaire is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1) questions on general matters, (2) questions on the current state in Korean reading strategy and on text structure marker, and (3) questions on comprehension of main idea and demands for 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take an effective approach to devising the teaching methodology for comprehension of main idea, in Chapter 4, this study categorized meaning structures shown frequently in texts into the followings to make easier reading instruction connected to marker teaching: 'enumeration structure,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point-elaboration structure, cause-effect structure, and problem-solving structure.' Also, we classified the five meaning structures into two parts (i.e. 'coordinate structure' and 'subordinate structure') according to a hierarchy of the five structures, so as to create a strategic basis to adopt as main idea the proposition in the superior structure of texts, The markers of text-structure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relation marker' and 'functional marker'. The 'relation marker' was sub-categorized into five structures identically to the text meaning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structure' was categorized into five markers 'overview, introduction, summary, change and quotation markers' to strengthen an downward approach to text struc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we suggested the principle of comprehension of main idea by meaning structure. We showed the process to extract main idea by selecting texts from Korean read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s and applying macro-rules to the chosen texts. During the process, we attempted to do the following two things. One is to briefly schematize the structure of the texts to improve visual comprehension. The other i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instruction content by specifying the procedure and strategy for comprehension of main idea and analyzing a relatively long text with a complex structure.
In Chapter 5, this study proposed instruction content and main activities for comprehension of main idea. Further, it suggested a plan of class composition for comprehension of main idea with a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14 classe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devised the principle of meaning structures to derive superior propositions by hierarchizing meaning structures, connecting an importance of information implicated by markers to macro-rules and finally by taking a macro approach to the hierarchized structure. The teaching methodology devised by this study was not applied to classes; hence, its education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were not verified. For the future, it leaves whether a training of the strategy of comprehension of main idea will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reading competence during academic communications. The future study should develop material texts reflecting the learners' demands and interests in that the contents of texts are restricted to explanatory ones. Further, various models of reading class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classes can be learner-oriented strategic one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