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학습 과정에 다양한 기준과 요소에 따라 언어 습득이 용이하게 되거나 오히려 그 효율성과 성공을 저해하게 될 수 있다(예: 나이, L1-L2언어학 특징 차이, 외국어에 노출의 기간과 방법...
외국어 학습 과정에 다양한 기준과 요소에 따라 언어 습득이 용이하게 되거나 오히려 그 효율성과 성공을 저해하게 될 수 있다(예: 나이, L1-L2언어학 특징 차이, 외국어에 노출의 기간과 방법, 등). 이러한 차이점이 학습 과정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성인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 모국어의 부정적인 전이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실수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획득한 체계의 간섭 때문이다. 본 연구는 아랍인 학습자가 한국어 파열음 발음을 습득할 때 이러한 현상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작되었다. 실제로 본 연구는 아랍인 학습자와 한국인 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인식과 발음 음향음성학적으로 살펴보고 대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랍인 학습자가 한국어 파열음 학습할 때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파열음 중에 어떻게 구별하는지 살펴보고 한국인 화자와 발음한 파열음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이 있는지를 밝히고, 그 양상과 원인을 규명하였다.
대조분석 가설에 따라 아랍권 성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파열음을 학습할 때 두 언어의 음성 특징 간에 큰 차이가 있어서 파열음 발음에 어려움 겪고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아랍어가 한국어 파열음이 갖는 평음, 격음, 경음의 대립이 없고 아랍어에서 파열음 중에 /ㅃ, ㅍ/, /ㄲ, ㅋ/, /ㄸ, ㅌ/가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다른 실험을 만들어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청취 실험으로 실험 대상자들은 30명이 모두 아랍권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이다. 한국인 교사 3명이 아랍인 학습자들이 녹음된 한국어 파열음 발음[바, 파, 빠, 다, 타, 따, 가, 카, 까]을 개별적으로 잘 듣고 0점에서 5점까지 정확성의 정도에 따라 아랍인 각각의 학습자에게 점수로 발음을 평가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음향음성학적 실험으로 아랍인 학습자와 한국인 화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을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통해 대조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실험에서 프라트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성대진동시작시간(VOT), 후행 모음 시작점의 피치[바, 파, 빠, 다, 타, 따, 가, 카, 까], 폐쇄지속시간(CD)[아바, 아파, 아빠, 아다, 아타, 아따, 아가, 아카, 아까]간의 수치를 측정한 다음에, 파열음 발음의 t-test 를 실시하여 아랍인 학습자와 한국인 화자의 파열음과 발음 간의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청취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아랍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 중에 격파열음(/ㅍ/, /ㅌ/, /ㅋ/)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반면, 평파열음, 경파열음은 점수가 낮았고 서로 비슷하였다. 즉, Flege의 SLM의 예측한 것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에서 얻은 평균 점수에 따르면 아랍인 학습자가 한국어 파열음 발음 학습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향음성학적 실험은 VOT, 후행 모음의 피치, 폐쇄지속시간이 t-test 에 따르면 차이 여부가 항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VOT 결과에 따르면 아랍인 학습자와 한국인 화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이 전반적으로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피치 값의 차이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폐쇄지속시간의 경우는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실 양순파열음 발음에는 아랍인 학습자와 한국인화자가 CD 값에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조파열음은 CD 값이 경음[아따] 값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쇄지속시간의 경우는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실 양순파열음 발음에서 아랍인과 한국인화자 간의 CD 값은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조파열음에서는 CD 값이 경음[아따] 값을 제외하고 모든 값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개파열음 발음 CD 값이 격음[아카] 값을 제외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모국어(L1)의 영향으로 아랍인 학습자가 한국어 파열음 발음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