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제2언어 습득 영역에서의 모어 전이 이론을 바탕으로, 어순을 중점으로 하여 한국에서 태어나고 제1 모어는 한국어인 한중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중국어 습득과정에서의 언어 전...
이 연구는 제2언어 습득 영역에서의 모어 전이 이론을 바탕으로, 어순을 중점으로 하여 한국에서 태어나고 제1 모어는 한국어인 한중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중국어 습득과정에서의 언어 전이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중언어 교육자, 한중 국제결혼 가정 부모와 아동이 제2 모어의 중국어표현중 제1 모어의 작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동시에 이중언어교육과 학습에 대해 지도방법 측면에서 논의를 더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모어전이 연구에서 학습자의 제1 모어 영향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심리 언어 학자는 학습자가 중간언어 발전 과정 중에서 언어 전이문제를 피해서 공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또한 가치가 없다고 여긴다. 실제로 ‘전이’는 ‘의사소통전략’이다. 언어학자의 말을 빌리자면 언어와 학습은 동등하게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국제가정 아동이 중국어 학습에서 제1 모어자원을 충분히 이용하도록 돕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에서 출생한 국제결혼가정 중에서 부모 중의 한 사람이 개발도상국인 경우, 그 부모의 모어는 홀대받고 한국어 교육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녀교육도 한국어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 한중(韓中)국제결혼 가정의 경우도 가정에서 한국어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경제 발전에 따라 한중 국제결혼 가정도 점차 자녀의 중국어 교육에도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Ⅱ장에서는 제1 모어와 제2 모어에 대해 정의를 내린 다음, 서양에서의 모어 전이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에서 조선족 이중언어 아동의 문장 시스템 연구를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한국내의 모어전이 연구를 총괄하여 보면 국제결혼 가정 아동은 이중언어 습득 중 모어전이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37개 한중 국제결혼 가정 총 50명 아동을 연구 사례로 선택하였다. 언어자료 분석을 위해 인터뷰조사의 문제를 구두 해설, 이야기 보고 다시 말하기와 자유문답 세 가지 유형을 설계하였다. 인터뷰 대상 아동이 규정한 주제에 중국어 구어표현 과정에서 어순 문제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연구 모형과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인터뷰 문제를 설계하였다.
Ⅳ장에서는 인터뷰 언어자료의 분석을 통해 제1 모어인 한국어는 제2 모어인 중국어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아동들이 제1 모어와 유사한 문장형식은 잘 구사할 수 있는 반면에 제1 모어에 없거나 차이가 많은 문장형식에는 오류를 자주 나타내었다. 한국어와 중국어 어순에 특징을 결합하여 인터뷰 언어자료에 나타난 어순 오류를 유형별로 자세히 논술하여, 한중 국제결혼 가정 아동이 중국어 구사과정에 모어 전이 현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한중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중국어 표현 중 모어전이의 연구결과를 표명하였다. 이 아동들은 제2 모어 습득 과정 중 뚜렷하게 교차언어의 영향을 받아 모어전이의 현상이 어순상에 나타났다. 한국어와 중국어사이 어의(語義)구조의 비슷함과 다름이 오류를 초래한 것이다. 어의(語義) 관계의 차이는 한중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어려움으로 그들이 목표 언어의 적절한 표현방식을 찾지 못하는 문제를 초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 과정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에 몇 가지 아쉬운 부분이 존재한다. 먼저, 연구자의 모어는 한국어가 아니고 한국어 수준의 제한으로 인해 일부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상세히 해석하지 못했으며, 연구 중 존재하는 모든 문제를 누락 없이 분석하지 못했다. 그 다음으로는 연구 조사 과정에서 연구 대상의 인원에 제한이 있었고 개인의 차이가 커, 정확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하기에 어려웠다. 또한 동일한 교육 수준의 배경을 가진 모어를 중국어로 하는 아동들에게 같은 조사를 할 수 없어 대조연구를 진행할 수 없었음으로 비교 연구도 진행할 수 없게 되었다. 이밖에 조사 대상자 전체의 중국어 수준이 제한되어 있어 심도 있는 분석데이터를 얻어 낼 수 없었다. 그리하여 좀 더 설득력 있는 데이터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없었다는 아쉬움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난이도의 인터뷰 내용을 설계했고, 문제를 발견하기 위한 원래의 의도가 있었지만 연구 의도가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상의 제한점 때문에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데이터를 더 증가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와 동시에 좀 더 계획적으로 인터뷰 내용을 설계하고 인터뷰의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진행하여 데이터의 설득력을 강화시키길 바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