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특수조사 교육 방안 : '도,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어의 조사는 주로 명사에 첨가되어 그 명사의 격을 표시해 주는 격조사와, 격표시와 무관하게 어떤 의미만을 더해 주는 특수조사로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특수조사 ‘도, ...

한국어의 조사는 주로 명사에 첨가되어 그 명사의 격을 표시해 주는 격조사와, 격표시와 무관하게 어떤 의미만을 더해 주는 특수조사로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특수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는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비슷한 환경에서 쓰이면서도 세부적인 의미에 있어서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외국인 학습자들은 구별해서 사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차이를 변별하고 적절한 담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제2장에서는 특수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와 용법을 살펴보았다. 먼저 각 특수조사에 대해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대화를 통해 이들 특수조사를 어떤 상황에서 발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드라마 대본에서 특수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용 통합 교재 분석을 통하여 ‘도, 까지, 조차, 마저’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교수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도, 까지, 조차, 마저’를 모두 다루고 있는 교재는 2 종뿐이었으며 이들 특수조사의 비교를 제시한 교재는 한 종도 없었다. 학습자들이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변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문 및 유의미한 과제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발화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습 대상은 고급 학습자로 설정하였다. 또한 특수조사 ‘도’는 많은 교재에서 초․중급 단계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선행 학습된 것으로 설정하고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와 용법을 중심으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특수조사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도입→제시→연습’ 단계까지만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사용 단계와 마무리 단계는 제외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세한 교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orean particles are divided into case particles and auxiliary particles. The former is usually attached to nouns to present case grammar while the latter adds a certain meaning regardless of the case marker. Korean particles explored in this ...

Korean particles are divided into case particles and auxiliary particles. The former is usually attached to nouns to present case grammar while the latter adds a certain meaning regardless of the case marker.
Korean particles explored in this , which includes ‘do, kkaji, jocha, majeo’, have a similar meaning and are used in a similar environment. But they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details of usage, which makes it hard for foreign learners to distinguish. He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ctual class model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notice the difference of meaning among ‘do, kkaji, jocha, majeo’ and use them in an appropriate dialogue situation.
In Chapter 2 provides the meaning and usage of Korean particles covering ‘do, kkaji, jocha, majeo’. First, in order to explor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Korean particle and identify in which situation Korean native speakers use these Korean particles when they converse, Korean particles ‘do, kkaji, jocha, majeo’ were extracted from a drama script for analysis.
In Chapter 3, based on the analysis of an integrated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studies, explores how ‘do, kkaji, jocha, majeo’ are presented and how they are taught on actual education sites. Based on the results, there are only two textbooks that handle ‘do, kkaji, jocha, majeo’ altogether while no textbook provides a comparison of these Korean particles. This Chapter confirms the importance of various example sentences and significant tasks which helps the learner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meaning of ‘kkaji, jocha, majeo’ more conveniently.
In Chapter 4 provides a concrete model for learning that helps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usage of ‘kkaji, jocha, majeo’. The subject of teaching is advanced learners. Also as 'do' as a Korean particle is handled in many textbook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it is defined as a particle already learned. Hence, the model is presented with a focus on the meaning and usage of ‘kkaji, jocha, majeo’.
This presents a model for teaching Korean particles such as ‘kkaji, jocha, majeo’. This study has its limit in that the model is presented for stages of ‘Warm up→Presentation→Practice’ only and excludes the stages of use and complet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 more detailed model for teaching through consistent studies in the future.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