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의 회복(Recovery)에 대한 태도연구 : 한국어판 회복태도척도(RAQ-16)의 타당성 검증과 활용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 문 초 록 정신보건 환경은 정신질환을 극복하고자 하는 많은 고민들 속에 시대의 흐름에 영향을 받으며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이루어 왔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

국 문 초 록

정신보건 환경은 정신질환을 극복하고자 하는 많은 고민들 속에 시대의 흐름에 영향을 받으며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이루어 왔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실천 방법들을 소개하고 적용시켰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정신보건 환경에서 소개되고 실천되고 있는 회복패러다임(Recovery paradigm)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회복(Recovery)을 태도의 수준에서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판 회복태도척도(RAQ-16)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신보건실천 환경 안에 있는 사람들이 회복에 대해 현재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회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에 있는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정신과병의원을 이용하는 DSM-Ⅳ(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Ⅳ)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를 가진 정신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의 가족, 정신보건기관에서 근무하는 정신보건전문가, 지역사회 거주하는 일반인 총 48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빈도분석, 기술분석, 신뢰도 평가, 상관관계평가, 평균비교,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각 집단의 회복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판 회복태도 척도는 척도의 신뢰도 평가에서 모든 연구 집단에서 Cronbach's alpha 값이 0.7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졌으며 RAQ-7과의 상관관계 평가에서도 Peasrson 상관계수가 0.8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한국어판 회복태도 척도는 기존에 검증된 척도인 RAQ-7의 결과와 비교할 때 집단 간의 회복태도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구분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에서도 RAQ-7의 결과와 같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에 대해 정신장애인과 가족집단에서 나머지 두 집단보다 회복태도의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가족은 회복태도가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회복태도가 가장 긍정적인 집단은 정신보건전문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정신장애인은 학력이 높을수록, 현재 이용 중인 시설이 지역사회에 위치한 기관인 경우가 보다 긍정적인 회복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경우, 병명이 정신분열병인 경우 회복태도는 부정적이었으며 입원횟수가 많을수록 회복태도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전문가의 경우는 정신장애인과 마찬가지로 근무 중인 기관이 지역사회 기관인 경우 회복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첫째, 정신보건실천 영역에서 회복에 대한 관심은 점차 늘어가고 있지만 회복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부족한 현실에서 새로운 척도를 소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집단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여 회복에 대한 태도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셋째, 일반인의 회복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일반 대중들도 회복적 실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귀중한 자원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정신보건전문가들이 긍정적인 회복태도를 가진다는 것은 정신보건 실천 현장에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큰 영향을 주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회복적 태도와 인식을 주도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전문가의 회복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주로 외부환경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통해 회복적 실천에서 기관이나 시설의 전반적인 가치와 실천적 방법에 대한 중요성에 함의를 제공하였다.

Abstract Mental health environment has brought breathtaking changes 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mental disease in the throes of getting over such disease, and subsequently introduced and applied a diversity of methods of practice. ...

Abstract

Mental health environment has brought breathtaking changes 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mental disease in the throes of getting over such disease, and subsequently introduced and applied a diversity of methods of practice.
This study takes a profound interest in recovery paradigm,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nd executed in the Korean mental health environment, and presents a Korean version of recovery attitude scale named RAQ-16, which is exploited to find out where those in the mental health environment stand with the recovery, and what factors affect the recovery attitude.
A survey is conducted for 488 persons who attend or work at mental health centers, rehabilitation facilities, or psychiatric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mental patients who are suffering from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in line with the DSM-Ⅳ(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Ⅳ), their family memb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local citizen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analysis, reliability assessment,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employ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for the recovery attitude of each group. The result of study shall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 version of recovery attitude scale has Cronbach's alpha value of over 0.7 for all research groups in the reliability assessmen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f over 0.8 i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RAQ-7. It also produced the results that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ltion with other variables as well as the recovery attitudes among the groups, compared to the results of RAQ-7.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mean of recovery attitude of the mentally challenged and their family members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groups. Particularly, family members have the most negative attitude among the entire groups, whil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the most positive attitude.
Thirdly, the mentally challenged have more positive recovery attitude, provided that they have higher educational level or use the facilities located in their local community. Family members have negative opinion, when the mentally challenged is suffering from schizophrenia. Howev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leads to positive recovery attitude of family memb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positive recovery attitude, when their workplace is located in the local society of the mentally challeng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new scale is introduced to the actual field of mental health practice, where there is no proper criterion to measure the recovery, in spite of the increase in recovery. Secondly, it casts a long shadow that a comparative analysis can be made for the attitude on recovery, including a diversity of groups from the mentally challenged to the general public as the subjects for inquiry. Thirdly, it became an opportunity to identify that the general public is a valuable resource to foster an environment for practice of recovery. Fourthly, that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positive recovery attitude is meaningful in that they can take the initiatives in recovery attitude as well as perception on the mentally challenged, as a punditariat that has an enormous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s the mentally challenged in the actual field of mental health practice. Lastly, that most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very attitudes of the mentally challenged and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re external is full of suggestions about the overall value of fac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other practical methods.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